포스코 위기 분석과 미래 전략[경영진 비리.비관련사업 다각화.방만경영]
해당 자료는 38페이지 중 10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38
  • 품질인증

포스코 위기 분석과 미래 전략[경영진 비리.비관련사업 다각화.방만경영]

자료번호 b1396414
수정일 2016.11.22 등록일 2016.11.21
페이지수 38Page 파일형식 파워포인트(ppt)
판매자 ki***** 가격 3,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포스코 위기 분석과 미래 전략[경영진 비리.비관련사업 다각화.방만경영]

목차

Ⅰ. 기업 분석
포스코의 비전
주요 계열사
생산 제품
현재의 대응 전략
경쟁사 분석
현대제철
SWOT 분석

Ⅱ. 위기 분석
사업 내부 위기 – 계열사 확장
사업 외부 위기 - 철강 시장의 변화
비사업분야의 위기 - 경영진 비리

Ⅲ. 위기 분석
포스코의 전사 차원의 통합리스크 관리체계
사업 내부 위기 – 계열사 확장
사업 외부 위기 – 철강 시장의 변화
중국산 철강의 공급 과잉
러시아 ㆍ 우크라이나 발 철강 생산량 증가
비사업분야의 위기 – 경영진 비리

Ⅳ. 위기 분석 – 포스코의 현재
계열사 확장 → 부실 계열사 등장
부실 계열사 사례 – (국내) 포스코 플랜텍
부실 계열사 사례 – (해외) 크라카타우포스코
철강 시장의 변화 → 매출액, 주가 하락
경영진 비리 → 이미지 실추

Ⅴ. 미래 전략
기업 이미지 개선 프로젝트
신수요 창출을 위한 시장 개척
미래 산업을 대비한 연구개발

Ⅵ. 결론 및 의의

본문내용

포스코 위기 분석과 미래 전략[경영진 비리.비관련사업 다각화.방만경영]
과거 이명박 정부는 출범 이후 경기 활성화, 글로벌 금융 경제위기 타파를 목적으로 기업들의 투자의욕, 일자리 창출 등을 고취시키기 위한 명분으로 친(親)기업 정책을 쏟아냈다. 2011년에는 정부의 금산분리 완화, 지주회사규제완화 등 공정거래법 완화로 인해 규제가 느슨해졌다. 이에 맞춰 국내 재벌들은 회사 신규설립, 인수합병을 통한 확장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국내 재벌의 계열사 수는 급속히 증가했다. 공정거래위원회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에 따르면, 지난 2007년 4월부터 2012년 1월말 까지 국내 15대 재벌의 계열사 수는 472개에서 802개로 69.9% 증가했다.
당시 포스코는 자원외교 관련 인수·합병(M&A)에 적극적이었다. 포스코는 2009년 2월 정준양 회장 취임 이후, 신성장 동력 확보와 수익성 향상을 명분으로 계열사를 늘렸다. 당시 철강 업체보다 원료 업체의 입김이 거센 상황에서 정준양 회장은 그린필드 보다는 이미 설립된 회사를 사들이는 방식인 브라운 필드 투자를 강조했다. 그 결과, 정준양 전 회장 취임 당시 35개에 불과하던 포스코 계열사는 2009년 48개, 2010년 61개, 2011년 71개로 급격히 증가했다.
정준양 전 회장은 임기 기간 동안 국내외에서 10여개의 계열사를 인수했다. 포스코는 2009년 대한ST를 600억원에 인수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성진지오텍, 대우인터내셔널, NK스틸, 나인디지트·리코금속, 삼창기업 원전사업부문을 차례대로 인수했다. 성진지오텍은 인수 당시 3000억원 가량의 손실을 내는 부도설이 나도는 회사였음에도
그림 연도별 포스코 국내 계열사 수 추이
(Business Watch)
불구하고 포스코는 경영권 프리미엄을 지급하면서까지 인수를 감행했다. 뿐만 아니라 포스코는 해외자원개발과 해외영업에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이유로 가장 많은 비용을 들여 대우인터내셔널을 인수했다. 황당한 기업 인수도 있었다. 2011년 대한 통운을 인수하면서 포스코의 문어발식 확장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포스코 위기 분석과 미래 전략[경영진 비리.비관련사업 다각화.방만경영]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포스코 경영전략
  • 포스코 경영전략 1. 환경경영 환경방침 - 전사 차원의 협력체제 구축, 타 경영체제와 조화 도모. - 환경관련 법규준수를 기본으로 환경영향이 저감되도록 노력. - 환경오염 예방, 재활용 가치제고 등 생태효율 지속적 향상. - 환경부하 적은 생산공정 및 제품개발 등 산업계의 친환경성 강화 기여. - 모든 임직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작업장을 친환경적으로 조성. - 임직원 적절한 교육훈련을 실시, 이해관계자와 의사소통 체계 구축. - 친환경적 공급망 관리체계구축 및 협력 강화. - 지속가능경영 목표, 개선계획, 추진결과를 정기적으로 평가, 분석할 수 있
  • 포스코(POSCO)의 경영혁신 - PI 추진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 포스코(POSCO)의 경영혁신 - PI 추진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4. 추진 방법 ■ 최고 경영층의 지속적이고 강력한 Sponsorship PI를 통한 회장의 경영철학 실현 ○ 현업(과제 오너별)의 PI추진 현황 직접 점검 - 사장외 전임원이 직접 PI추진 내용 보고 전 과제별 마스터플랜 수립결과 개별 보고(’99.8 ~ 10) 4개월(’00.2~5)에 걸쳐 To-Be 설계결과 임원회의 보고 ○ 사운영회의/임원회의시 PI에 대한 회장의 사상 및 PI의 필요성 강조 - 사운영회의 28 회/ 임원회의 220 회 (’99.1~’01.7
  • 포스코의 경영혁신
  • 포스코의 경영혁신 똑같은 V벨트(설비부품) 포항제철소는 개당 6만312원, 광양제철소 는 1만9286 원 두 제철소는 원자재와 부품을 각기 구매했고 부품을 일컫는 용어도 서로 달라 본사나 포항측은 그동안 3배나 비싸게 부품을 구입하는 줄 모르고 있었다. “붕괴 직전의 바벨탑 같았다. 조직이 비대해지면서 부서 이기주의가 극성을 부리고 용어와 데이터 작성기 준이 달라 조직 내에서도 대화가 안 되는 공룡이 됐다.” (PI기획팀 황용립 팀장) ‘심각한 동맥경화증에 걸렸다’고 평가받던 포스코 99년 1월 경영혁신을 시작한 지 4년여 만에 전 세계 기업의 벤
  • [사회과학] 포스코의 경영전략
  • 포스코(포항제철)는 1997년 말 9조 7천억 원의 매출에 8,699억원의 경상이익을 기록하였다. 1997년 외환위기를 맞아 한국의 유수한 재벌기업들이 도산하고 한국정부가 발행하는 국채가 정크본드수준에서 거래되는 와중에서도 포항제철이 발행한 채권은 최고의 신용등급으로 거래되는 등 세계적으로 그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세계적인 경영컨설팅 회사인 맥킨지는 한국의 여러 기업과 산업을 연구한 후, 한국기업 중 세계적인 초우량기업과 어깨를 견줄 기업은 포항제철뿐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포스코는 일본의 新日本製鐵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철강생산기업이다. 포항제철의 용광로는
  • [사회과학] 포스코의 경영혁신
  • "2기 PI로 해외 철강업계 통합. 대형화에 대처" 지난해까지 3190억원 절감…1기 PI 성과 괄목 오는 5월부터 6시그마 본격 추진 사진설명 : 포스코는 25일 1기 PI의 성과를 정리하고 2기 PI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을 다짐했다. 계획 보고에서 포스피아 시스템 가동으로 99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모두 3190억 원의 비용을 절감했고, 올해 말까지 약 3800억 원의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아래 관련기사 참조> 그동안 포스코는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포스데이타와 포스코 직원들의 인건비와 교육비 845억 원을 포함해 모두 2058억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