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자(墨子)의 ‘겸애사상(兼愛思想)’
해당 자료는 18페이지 중 6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8

묵자(墨子)의 ‘겸애사상(兼愛思想)’

자료번호 h1240117
수정일 2017.03.30 등록일 2013.10.28
페이지수 18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ly******* 가격 9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묵가사상의 현대적 의미
  • 묵가는 선진시대 제자백가들 가운데 도가와 함께 가장 융성했던 학파로, 묵자(墨子 원래 이름은 묵적墨翟)에 의해 창시되었다. 묵가는 상명하복이 철저한 피라미드 계층구조를 바탕으로 한 군사조직으로, 겸애(兼愛)를 사상적 기반으로 하여
  • 묵자 사상편 (겸애설)
  • 의 대부가 되었는데 공자보다 뒤의 시대에 살았다.” 고 하고 있다.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초기의 사상가 묵자(墨子)를 계승하는 학파, 그 사상과 학설은 <墨子> 53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상현(尙賢), 상동(尙同), 겸애(兼愛), 비공(非
  •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사상
  • 의 정치참여 제자백가(諸子百家)의 등장 학문과 사상의 황금 시대 중국 여러 사상의 기초를 이루다 2. 묵자(墨子) 사회혁명적인 상현(尙賢)주의 인(仁)을 뛰어넘는 겸애(兼愛) 혈족제사회에 대한 도전 분석논리적 표현과 격렬한 반(反)

소개글

중국철학자 묵자의 겸애사상에 대해 쭉 정리했습니다. 유가사상의 인과 비교 분석할려고 했습니다.

나름 여러 책과 논문들을 자세하게 정리했습니다.

목차

개요 .................................................................................1~2p

제 1장
1. 묵자(묵자)의 생애에 관한 설 .................................................3p
2. 묵자의 계층 ..................................................................3~4p
3. 묵자가 살았던 배경 ...........................................................4~5p

제 2 장
1. 인(仁) 사사의 발전 보편화.....................................................5~10p

제 3 장
1. 상현(尙賢), 상동(尙同) .......................................................10~11p
2. 절용(節用), 절장(節裝) .......................................................11~13p

제 4 장
1. 묵가(墨家)의 겸애(兼愛)사상과 유가의 인(仁)사상 .....13~15p

결론 ...........................................................................16p

본문내용

묵자(墨子)의 ‘겸애사상(兼愛思想)’
개요
중국 고대 사상은 크게 유가(儒家), 묵가(墨家), 도가(道家), 법가(法家)로 4대학파로 나눠졌다. 서서히 시간이 흐르면서 지금은 유가와 도가만이 남아있지만 그 때 당시에는 묵가와 법가도 굉장히 큰 힘을 갖고 있는 학파였다. 춘추전국시대를 거쳐서 중국을 천하통일한 진나라는 법가 사상을 나라의 사상으로 채택해 한 때 큰 힘을 펼치다가 한나라로 넘어오면서 사라져갔다. 묵가사상 또한 묵가의 중심 사상을 이끈 묵적이 죽은 뒤에 많은 유파로 나눠어졌다. 지금 현존하는 [묵자]가운데 [경(經)상], [경(經)하], [경설(經說)상], [경설(經說)하] [대취大取], [소취小取] 6편이 묵가 후학의 작품이라 후기 묵가라한다. 묵적이 죽은 후 후기 묵가들이 묵가 사상을 이끌다가 진시황제의 중국을 통일 한후 피지배 계층의 이익을 대변하는 묵가 사상도 소멸해 갔다. 다만 그 뒤로 협객들의 집단, 즉 의적같은 비밀결사들을 통해 명맥을 이어나갔을 뿐이다.




≪ … 중 략 … ≫




서론
제 1 장
1. 묵자(墨子)의 생애에 관한 설
묵자(Mo Tzu, Moh Tzu 또는 Motze 로도 표기되며 때로는 라틴어로 Micis라고도 표기된다. 묵자는 중국 고대 사상가 가운데 노자와 더불어 전기(傳記)가 분명치 않은 인물이다. 완전히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인물이지만, 다소 막연한 인물로 가득 차 있는 중국의 전통에서조차도 이상하리만치 기본적인 역사적 아이텐티가 결여되어 있던 인물이다. [맹자순경전](盟子筍卿傳)의 일부에 “묵적은 송나라의 대부로서 성을 방위하는 기술에 뛰어났고 절용(節用)을 주장하였다. 혹은 공자와 같은 시대의 사람이라기도 하고 혹은 공자의 후세 사람이라고도 한다.” 고 짧게 씌어 있을 뿐이며 생존시기조차 분명하지 않다. 그의 성은 묵(墨) 이름은 적(翟)인데, 묵(墨)은 묵자(墨子)들의 호칭이라 하기도 한다. 심지어 그의 성이 말 그대로 묵이었는지 그리고 이름이 적이었는지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을 정도이다.
.
그의 출신국에 대해서도 일부학자들은 [사기](史記)와 [한서](漢書)에 그가 송(宋)나라 대부였다는 기록에 따라 송나라 사람으로 보거나, [여씨춘추](呂氏春秋)에 그가 노나라에 머물려 사각(史閣)의 후예에게 학문을 배웠다는 기록을 가지고 노나라 사람으로 보기도 한다. 또[여씨춘추](呂氏春秋)에 보이는 필원(畢沅)의 견해에 근거하여 초(楚)나라 사람이라고 보기도 한다. 박재범 <묵자> 홍익출판사 1999년 13~14p
이 밖에 묵자가 제(齊)나라, 인도 사람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심지어 아랍사람이라는 설도 있다. 손이양은 사마천의 사기(史記)에서 “묵적이 송나라의 대부”라고 말하는 것만으로 묵자를 송나라 사람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오류라고 지적하면서 묵자는 오히려 노나라 사람일을 묵자서와 [여씨춘추], [회남자]를 근거로 주장하고 있다. 박병동 <수원 카톨릭대 석사학위논문> 묵자의 사회사상연구 - 그리스도교 사회론의 접근 가능성 모색 1995.12 , 8p
오늘날 학자들은 대부분 노나라를 중심으로 활동했다는 설에 기울고 있는 듯 한데, 확증이 있는 것은 아니다. 구라하라고레히도 <중국 고대 철학의 세계> 이상호역 한울 아카데미 1996년 73p
2. 묵자의 계층
주대 봉건 사회하에서 왕, 제후, 대부들은 각각 자기의 군사적 전문가를 두고 있었으며, 이들 전문가들은 당시 군대의 중추를 이루고 있었던 전사들 이었다. 주나라말기에 봉건 체제의 붕괴와 더불어 이 군사 전문가들은 지위와 명성을 잃고 자기를 등용함으로써 생계를 유지하였다. 이런 부류의 인물들은 사(士)또는 무사(武士) 라 부른다. [사기]에 의하면 이 무사들이 “말은 언제나 믿음직했으며 그들의 행동은 과단성이 있었고, 약속한 일은 반드시 성실히 지켰으며 , 자신의 몸을 아끼지 않고 위험 속에 뛰어들었다.” 풍우란과 더크보드 <중국철학사> 정인재역 형설출판사 1989년 73~74p
또한 묵자는 군사적 배경을 가진 몰락한 무사집단 출신이었다고 오랫동안 추측되어 왔다. 임계유 <중국철학사 1> 이문주 최일범 외 옮김 청년사 1989년
그의 출신 계층은 사상적 경향으로 보

참고문헌

구라하라 고레히도 <중국 고대 철학의 세계> 이상호역 한울아카데미 1996년
중국 북경대 철학과 연구실 <중국 철학사 1>-선진편 자작아카데미 1994년
주백곤 <중국 고대 윤리학> 전명용외 옮김 이론과 실천사 1994년
F.W 모트 <중국의 철학적 기초> 김용헌 역 서광사 1994년
박병동 <수원 카톨릭대 석사학위논문> 묵자의 사회사상연구 - 그리스도교 사회론의 접근 가능성 모색 1995.12 , 8p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묵자(墨子)의 ‘겸애사상(兼愛思想)’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묵자의 겸애와 개혁의지
  • 묵자의 겸애와 개혁의지 1. 묵자의 생애와 시대배경 묵자는 성이 묵(墨)이고, 이름은 적(翟)입니다. 공자, 맹자, 순자, 노자, 장자는 잘 알려져 있지만 묵자는 약간 생소한 느낌이 듭니다. 묵자는 태어난 나라도 불분명하고, 태어나고 죽은 해도 확실하지 않습니다. 대체로 공자보다 조금 뒤, 맹자보다 조금 앞이라고 짐작할 뿐입니다. 사마천의 <사기>에도 묵자는 아주 간단하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그만큼 묵자의 사상이 지배층에게 반가운 사상이 아니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묵자의 성이 본래 묵씨가 아니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묵(墨)'자에는 검다는 뜻이
  • [인문과학] 묵자의 겸애사상
  • 서론 묵가(墨家)의 대표적인 인물은 묵자(墨子, 약 BC480~BC420)이다. 묵자는 성이 묵(墨), 이름이 적(翟)이며 전국시대 송(宋)나라 사람이다. 묵자는 일찍이 유가학설을 공부하였으나 후에 유가를 배반하고 독창적으로 묵가학파를 세웠으며, 그의 사상은 주로 ≪묵자(墨子)≫에 잘 나타나 있다. 묵자는 그의 저작 속에서 겸애(兼愛), 비공(非攻), 상현(尙賢), 상동(尙同), 천지(天志), 명귀(明鬼), 비락(非樂), 비명(非命), 절용(節用), 절장(節葬)의 10대 주장을 내세웠다. 이 10대 주장은 그의 정치 윤리 철학 사상을 중점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묵
  • [철학의 이해] 묵자의 사상
  • [철학의 이해] 묵자의 사상 1.묵자의 생애와 활동 묵자는 묵가의 비조인 묵자의 사상과 행동을 그의 제자 및 후학들이 기록하여 정리한 책이다. 묵가는 춘추전국시대에 유가와 함께 양대 학파를 형성하였는데, 묵가의 창시자로서 묵자의 가르침은 당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명성 또한 공자만큼 드높았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묵가의 창시자이자 묵자의 주인공인 묵자의 생애와 활동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구체적인 전기나 사료가 남아있지 않아. 묵자는 공자가 활동하였던 춘추시대 말기에 태어나 전국시대 초기에 활동하였던 인물로서 이름은 적이고 공자와 같은 노나라 사람이라
  • 묵자의 사상
  • 묵자의 사상 1. 생애와 시대배경 성은 묵(墨)이요 이름은 적(翟)이다. 생존연대는 확실하지 못하나 대체로 기원전 479-381년 혹은 기원적 약468-376으로 추정된다. 노나라의 천민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공자는 초기 周나라 때의 전통적인 제도 예악과 문물을 동경하여 논리적으로 이들을 합리화 내지 정당화하려고 힘썼던 반면, 묵자는 그 제도 등의 타당성과 효용성에 회의를 품고 이들을 좀 더 유용한 것으로 대치시키려고 하였다. 주대 봉건체제하에서 왕 제후 대부들은 각각 자기의 군사적 전문가들을 두고 있었다. 그런데 周末 봉건제도의 붕괴와 더불어 이 군사전문가
  • 공자, 맹자, 묵자, 장자, 공손룡의 사상
  • 공자, 맹자, 묵자, 장자, 공손룡의 사상 1. 중국철학의 특성 물자의 풍요로 인한 여유에서 지적 탐구가 시작되었던 서양 철학과는 다르게 중국에서는 정치의 혼란과 질서의 혼란으로 말미암아 구세 정신으로부터 출발되었다. 이렇게 시작되는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발전이나 특성 또한 다른 방향으로 진행된다. 서양은 여유 속에서 경이와 회의 그리고 호기심을 만족시키려고 하였기 때문에 철학적 사유가 대부분 추상적이며 형이상학적 실체 문제와 종교적인 신론으로 발전했다. 반면 중국에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는 어떻게 있으며, 우리는 이 세계에서 마땅히 어떻게 살아야 하는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