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소식의 전적벽부(前赤壁賦)
해당 자료는 6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6

[고전문학] 소식의 전적벽부(前赤壁賦)

자료번호 h672213
수정일 2012.12.17 등록일 2010.06.22
페이지수 6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cc****** 가격 1,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
  • 4) 십주(十洲)) : 신선이 사는 10개의 섬(祖洲․瀛洲․玄洲․炎洲․長洲․元洲․流洲․生洲․鳳麟洲․聚窟洲) 5) 계도난주(桂棹蘭舟) : 계수나무로 만든 삿대와 난으로 치장한 배. 소식의 『前赤壁賦』에 “계수나무 삿대에 난으로 만 

소개글

[고전문학] 소식의 전적벽부(前赤壁賦) 자료입니다.

목차

본 자료는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본문내용

壬戌之秋 七月旣望 蘇子與客泛舟遊於赤壁之下. 淸風徐來 水波不興.
임술지추 칠월기망 소자여객범주유어적벽지하. 청풍서래 수파불흥.
임술년 가을 7월 기망에 소자가 손과 배를 띄워 적벽(赤壁) 아래서 노닐새,
맑은 바람은 천천히 불어오고, 물결은 일지 않더라.
壬戌(임술) : 송 원풍 5년(1082년), 소동파 나이 47세
望(기망) : 보름이 막 지난 음력 16일
蘇子(소자) : 소식 자신
赤壁(적벽) : 양자강 상류에 있는 황강현 황주의 강언덕 이름
擧酒屬客 誦明月之詩 歌窈窕之章.
거주촉객 송명월지시 가요조지장.
술을 들어 손에게 권하며, 명월의 시를 외고, 요조의 장을 노래하더니.
屬(촉) : 권하다
明月之詩(명월지시) : 시경(詩經) 진풍(陣風)에 있는 월출편(月出篇)
窈窕之章(요조지장) : 서경(書經) 국풍(國風) 주남(周南)에 있는 관저편(關雎篇)
少焉, 月出於東山之上 徘徊於斗牛之間. 白露橫江 水光接天.
소언, 월출어동산지상 배회어두우지간. 백로횡강 수광접천.
이윽고, 동산에 달이 솟아 올라 북두성과 견우성 사이를 서성이더라.
흰 이슬은 강 위에 가득하고, 물빛은 하늘과 맞닿았더라.
斗牛(두우) : 북두성과 견우성
縱一葦之所如 凌萬頃之茫然. 浩浩乎 如憑虛御風 而不知其所止
종일위지소여 능만경지망연. 호호호 여빙허어풍 이부지기소지
한 잎의 갈대 같은 배를 가는 대로 맡겨 두어, 일만 이랑의 아득한 물결을 헤치니.
넓고도 넓구나, 허공에 의지해 바람을 탄듯하여 그칠 데를 알 수 없네
一葦(일위) : 한 잎의 작은 갈대, 작은 배를 가리킨다
所如(소여) : 여(如)는 왕(往), 거(去)의 뜻, 가는 대로
凌(능) : (배 같은 것을) 타고 건너가다
萬頃(만경) : 한없이 너른 바다
茫然(망연) : 하도 너르고 멀어서 아득한 모양
浩浩乎(호호호) : 넓은 것을 뜻하는 형용사
憑(빙) : 의지하다 / 虛(허) : 허공 / 御(어) : 승(乘)의 뜻
憑虛御風(빙허어풍) : 마음이 신선의 경지에 들어갔음을 의미함
飄飄乎 如遺世獨立 羽化而登仙.
표표호 여유세독립 우화이등선.
가붓가붓 나부껴, 인간 세상을 버리고 홀로 서서, 날개가 돋치어 신선(神仙)으로 돼 하늘로 오르는 것 같더라.
飄飄乎(표표호) : 가볍게 나부끼는 모습, 여기서는 몸이 가벼이 두둥실 떠오른 모양을 말함
遺世(유세) : 속세를 떠나다, 속세를 떠나 그 어떤 사물에도 속박되지 아니한 대자연의 경지를 말함


적벽의 야경과 흥취
於是 飮酒樂甚 舷而歌之.
어시 음주락심 구현이가지.
이에 술을 마시고 흥취가 도도해 뱃전을 두드리며 노래를 하니,
舷(구현) : 뱃전을 치다
歌曰: 桂棹兮蘭 擊空明兮流光. 渺渺兮予懷 望美人兮天一方.
가왈: 계도혜난장 격공명혜소류광. 묘묘혜여회 망미인혜천일방
노래에 이르기를 계수나무 노와 목란 상앗대로 물에 비친 달을 밀쳐, 흐르는 달빛을 거슬러 오르는 도다. 아득한 내 생각이여, 미인(美人)을 하늘 한 쪽에서 바라보도다.
空明(공명) : 물속에 비친 달 그림자
流光(소류광) : 물에 번쩍이며 흐르는 달빛을 거슬러 올라가다
渺渺(묘묘) : 아득히 먼 모양
予懷(여회) : 자기가 품고 있는 회포
美人(미인) : 마음에 드는 좋은 사람, 아름다운 여인 또는 임금. 여기서는 달
天一方(천일방) : 하늘 저 한 쪽
客有吹洞簫者 倚歌而和之 其聲嗚嗚然 如怨如慕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고전문학] 소식의 전적벽부(前赤壁賦)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독일 고대 문학여^^
  • 독일 고대 문학여^^ 카를 대제(大帝:재위 768∼814)의 치세 이후, 곧 그리스도교 전래 이후의 문학이 대상이 된다. 그 이전에는 구전(口傳) 형태의 게르만 문학이 있었을 뿐이며, 그나마 현존하는 것은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1. 상고시대 독일 민족은 인도 게르만 민족의 한 분파로서 BC 2 세기경 유럽으로 건너왔는데, 그들은 그때 이미 불사신(不死身)의 영웅담이라든지, 아버지와 아들의 갈등을 그린 무용담(武勇談) 같은 것을 가지고 있었다. 또 문학의 형식에 있어서도 주문(呪文) 등을 나타내는 일정한 형식을 가지고 있었고, 종교적인 의식이나 세속적인 축
  • [인문과학] 고대문학
  • [인문과학] 고대문학 1. 건국 신화, 국중 대회, 건국 서사시 文學史에서 둘째 시대가 시작된 증거는 建國神話의 출현으로, 이는 국가 성립을 뜻한다. 건국 신화는 정복민이 원래의 신화를 가져와서 선주민의 신화를 보태고, 건국을 위한 투쟁과 승리의 역사를 나타낸 것으로 국가적 질서 수립을 위한 이념까지 표현하였다. 국중 대회는 농사가 잘 되게 하자고 굿을 하면서 노래 부르고 춤을 춘 행사로, 신석기시대 이래 농업 사회의 굿놀이였다. 임금이 무당이었고, 하느님을 섬기는 굿과 더불어 건국 시조를 섬기는 굿도 했다. 이때 건국 시조신의 내력을 서사시로 들려주었을 가능성
  • 고대문학속의 여성상 / 박씨전
  • 고대문학속의 여성상 / 박씨전 이 글은 조선후기의 작자 미상의 소설로 숙종 연간에 발표되었고, 박씨부인전이라고도 한다. 「출처」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php?id=69686) 얼핏보면 이 글이 쓰인 시대가 조선시대인가 싶지만, 병자호란의 국치와 또 조선 여인들의 마음속에 응어리진 한(恨) 같은 것들이 잘 나와있는 작품인 것 같다. 특히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여성 영웅 소설이라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바로 남존여비의 당시 세태에서 여성을 우월하게 묘사한 점이 이채로운 것이다. 여기서 박씨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신선이 나
  • 중국 고대문학-시경
  • 중국 고대문학-시경 주남 소남 패 용 위 왕 정 제 위 당 진 진 회 조 빈의 15국의 노래 (2) 풍의 명칭 풍---풍자 풍간 풍---풍요 국풍---여러 나라의 노래가 모여 있다해서 국풍 * 각국의 민간 가요로 남녀간의 애정을 노래한 것이 많다. 3) 아 (1) 대아 소아 주희《시집전》에서는 아도 정변으로 나누고, 정아를 대아와 소아로 구분했는데 그에 의하면 정소아는 잔치하고 즐길 때의 음악이고 정대아는 회조에 쓰이던 음악이며 제사지내고 난 고기를 받고 훈계를 늘어놓을 때의 가사라고 했다. (2) 명칭 양계초《석사시명의》에서 ‘아’는 ‘하’와
  • 고대 문학속의 여성 이해 / 홍계월전을 통해
  • 고대 문학속의 여성 이해 / 홍계월전을 통해 서론1. 홍계월전의 줄거리명나라 때, 형주 홍시랑과 부인 양씨 사이에 태어난 무남 독녀 계월은어렸을 때 북방 절도사 장사랑의 반란으로 아버지와 헤어지고, 수적(水賊) 장맹길로 인해 물에 던져져서 어머니와도 헤어진 후, 자신의 아들인 보국과 함께 공부를 시켜, 계월은 장원으로, 보국은 부장원으로 과거 급제한다. 서번과 가달국이 중원을 침범하자, 계월은 원수로, 보국은 부원수로 출정하는데, 보국이 홍원수의 말을 듣지 않고 호기를 부리며 출전하였다가 대패하자 홍원수가 처벌하려다가 용서하고 자신이 나가 적을 섬멸하고 잃었던 부모와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