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상담 활용

유아상담을 직접적으로 다룬 책도 거의 없는 실정이며, 대부분의 경우, 아동상담을 다룬 책에서 한 부분으로서 유아의 상담을 언급하는 정도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도 그 내용이 대립되지 않고 같은 맥락의 경우에 한하여 아동상담 전반에 관한 내용들을 부분적으로 인용하였다.본 논문의 구조를 살펴보면, II장에서는 유아들의 발달의 특징을 먼저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III장에서는 유아의 문제와 그 원인으로 인하여 유아를 상담의 대상으로 상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IV장에서는 유아들을 위한 전문적인 상담 기법들로서 활동적인 상담의 기법인 놀이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의 기법을 살펴볼 것이다.이러한 활동 중심의 유아상담의 연구는 다시 교육의 장인 교회 안에 적용되어야 할 터인데, V장에서는 유아상담의 장으로서의 교회와 유아, 유치부에서의 유아상담적 활동들을 살펴볼 것이며, VI장에서는 교회 안에서의 유아상담의 적극적인 활용의 실제를 모색해 볼 것이다.

우리는 때때로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그리워하고 그 시절로 다시 돌아가고 싶어한다. 어린 시절은 걱정이 없는 시기이고, 먹고, 자고, 마음껏 놀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린 시절은 성인이 되어 생각하는 것처럼 아무런 문제가 없는 시기는 아니다. 아이들의 세계는 결코 단순하지 않다. 비록 그들의 언어 표현이 부족하고 사고의 발달이 완성되지 못하여 그들의 문제를 말하거나 자각하는 것이 불충분하지만 계속해서 발표되는 최근의 레포트들은 그들 중 많은 수가 이 사회 가운데서 부적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아동학대, 18세 이하의 범죄 증가, 부모의 이혼 등등이 그것을 대변해준다. 그러한 사실은 유아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유아 특유의 행동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상담 절차에 대한 문헌은 많지 않다. 대부분의 상담책에서는 이론이나 기법 내지 적용방법을 성인 전반에 걸친 일반적인 언어로 서술하고 있으며 유아나 아동의 문제에 대한 강조는 거의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유아 상담자는 기존의 상담이론을 유아들의 눈에 맞춰 수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래서 기존의 상담기법 중에서 유아들에 적합한 놀이치료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교회, 유아상담, 예배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청소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