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간호업무] 순환 간호사(circulating nurse) & 소독 간호사(scrub nurse)
본 자료는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 품질인증
  • 프리미엄

[소독간호업무] 순환 간호사(circulating nurse) & 소독 간호사(scrub nurse)

자료번호 m1345468
수정일 2015.06.26 등록일 2015.06.25
페이지수 3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l0***** 가격 2,5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수술실 간호사
  • 수술실 간호사 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수술실 간호사는 크게 순환간호사(circulator nurse)와 소독간호사(scrub nurse)로 나누어 분류된다. 소독 간호사와 순환 간호사의 업무는 분담되어 있다. ①소독간호사 소독간호사는 수술이 원활히 진행
  • 수술실 소개(Orientation)
  • 간호사, 응급구조사 등이 수술시 땀을 흘릴 때 닦아주기도 한다.  ♣ 수술실 요원 소개 1. 마취 의사 2. 마취 간호사 3. 수 간호사 4. circulating nurse 5. scrub nurse ♣ 기구 및 물품 관리 1. 기구 setting 2. 수술실 소모품 명세서 기
  • 성인간호실습 수술실 마취실 간호, 회복실간호, 회복간호 과제
  • 간호사의 역할 3. Intubation (기관 내 삽관) 4. 마취(심도) 모니터링 Ⅱ. 수술실 간호 1. 수술실 환경 2. 수술 환자 맞이하기 3. Time out 4. Scrub nurse(소독 간호사)의 책임 5. Circulating nurse(순환간호사)의 책임 6. Positioning 7. 안전간호 8. Surgical cou

소개글

해부, 생리, 수술 절차를 고찰하여 명확히 안다.
- 수술실 준비 보조
·무균술을 실시
·다른 사람 활동을 모니터함
·수술계획표에 따라 수술방과 기구를 준비한다.
·모든 장비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점검한다.
·멸균포로 포장된 물품들을 공급한다.
·Suction기, electro surgical unit(bovie unit), 발판 등이 제 위치에 있는지 확인하고 기능의 작동 여부도 시험해 본 다.
·작업 순서에 맞게 기구를 배열한다.
- 수술 체위의 유지를 도와주며 각 수술에 필요한 수술체위와 침대 및 부속물의 사용법을 알아야 한다.
- X-ray film을 view box에 걸어 놓는다.
- 환자 확인과 사정, 수술실 내 간호 계획 수립 및 조율을 한다.
- 환자 차트와 관련 자료를 점검한다.
- 수술실로 온 환자를 받고 환자를 수술침대로 옮긴다.

목차

순환 간호사(circulating nurse)

소독 간호사(scrub nurse)


수술 전
수술 중
수술 후

본문내용

[소독간호업무] 순환 간호사(circulating nurse) & 소독 간호사(scrub nurse)

순환 간호사(circulating nurse)

수술 전

- 해부, 생리, 수술 절차를 고찰하여 명확히 안다.
- 수술실 준비 보조
·무균술을 실시
·다른 사람 활동을 모니터함
·수술계획표에 따라 수술방과 기구를 준비한다.
·모든 장비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점검한다.
·멸균포로 포장된 물품들을 공급한다.
·Suction기, electro surgical unit(bovie unit), 발판 등이 제 위치에 있는지 확인하고 기능의 작동 여부도 시험해 본 다.
·작업 순서에 맞게 기구를 배열한다.
- 수술 체위의 유지를 도와주며 각 수술에 필요한 수술체위와 침대 및 부속물의 사용법을 알아야 한다.
- X-ray film을 view box에 걸어 놓는다.
- 환자 확인과 사정, 수술실 내 간호 계획 수립 및 조율을 한다.
- 환자 차트와 관련 자료를 점검한다.
- 수술실로 온 환자를 받고 환자를 수술침대로 옮긴다.
- 환자 본인, 환자의 이름, chart의 이름을 확인한다.
- 마취과 간호사가 없는 경우 투약을 준비한다.
- 수술 전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환자를 안심시킨다.
- 감시 장치들 삽입 및 부착시 함께 참여한다.
- 환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주며 마취 도입 시기(induction of anesthesia)에 환자 옆에 있도록 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 윤혜상 외, 수술실 환자간호, 2000, 청구문화사
- 서문자 외, 성인간호학, 2000, 현문사
- 이향련 외, 성인간호학, 2008, 수문사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소독간호업무] 순환 간호사(circulating nurse) & 소독 간호사(scrub nurse)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수술환자의 간호
  • 수술환자의 간호 ※목적:①환자에게 수술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하게 된다. ②수술부위의 세균 감염을 방지한다. ③수술후 통증과 불안을 적게한다. ④자기간호에 대해 동기부여를 하여 입원기간을 짧게 한다. ⑤회복기간을 단축시킨다. (1)수술환자 준비:수술전날 또는 전날 저녁의 준비 ⊙수행 a. 신체검사, 임상병리검사, 특수검사 등이 지시되었으면, 검사가 끝났는지 확인한다. b. 환자의 건강상태를 사정한다. c. 수술 승낙을 받는다. d. 입원시 활력증상을 사정하고 수술전까지 정규적으로 사정하여 이상증
  • 수술환자 체위
  • 수술환자 체위 5. 수술시 체위 ① 앙와위 또는 배와위(dorsal position or supine position) - 해부학적 자세에 근거한 기본체위로써 등을 대고 똑바로 눕는다. 얕은 마취나 국소마취의 경우 환자가 움직일 우려가 있으므로 사지(iimbs)의 고정을 정확히 해야 한다. 혈압 측정, 정맥내 주입을 위해 양쪽 또는 한쪽의 팔을 90°이하로 외전하여 팔 받침대에 고정 한다. 팔을 90°이사응로 오랫동안 외전시키면 상완신경 마비 등이 올 수 있으므로 주의 한다. 복부수술, 흉곽소술, 골반수술, 하지수술시에 많이 이용하며 얼굴, 목, 머리
  • 수술실 케이스(수술환자 케이스)
  • 수술실 케이스(수술환자 케이스) 1. 개인력 성 명 : 이명옥 나 이 : 54 성 별 : 여 과 별 : GY 결혼상태 : 기혼 직 업 : 주부 2. 수술명 1) 수술전 진단명 : Leiomyoma of uterus 2) 수술명 : L.A.V.H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 복강경하 질식 전 자궁 적출술) 3) 수술후 진단명 : Leiomyoma of uterus
  • 안수술환자의 간호
  • 안수술환자의 간호 Ⅰ. 서 론 눈은 우리생활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신체기관 중 하나이다. 시력이 나빠 안경을 쓰는 사람들은 안경을 벗으면 희뿌옇게 보이는 사물들을 구별하려고 눈을 찡그리며 사물을 뚜렷이 보려고 노력한다. 눈이 조금만 안보여도 생활에 많은 지장을 주는데 질환이 있으면 더욱 더 많은 불편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사람들은 눈수술 하면 흔히 백내장과 녹내장을 생각한다. 그렇다면 눈의 질환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또한 그런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겐 수술 후에 어떠한 간호를 행해지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Ⅱ. 본 론 1. 안과 질환
  • 흉부수술환자 간호
  • 흉부수술환자 간호 수술 전 간호 1. 신체적인 검사와 준비 수술 전에 수분의 섭취를 강조하고, 고단백질, 고칼로리, 고비타민 식이를 준다. 흡연은 산소 포화도를 감소하고 일산화탄소혈색소를 증가시키므로 수술 전 후에 결코 담배 를 피우지 말도록 강조한다. 구강은 하부기도로 들어가는 입구이므로 수술 전에 구강의 상태를 살펴보고 병변을 치료한 다. 폐농양이나 기관지 확장증이 있을 때는 객담을 잘 뱉아내기 위해 자세배액이 처방되고, 객담은 그 양과 특성을 매 8시간 - 24시간마다 관찰하여 보고한다. 2. 수술 전 검사 객담검사, 폐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