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수술실 기구, 수술실간호사가 하는 일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중 3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0

[성인간호학] 수술실 기구, 수술실간호사가 하는 일

자료번호 m1355373
수정일 2015.09.23 등록일 2015.09.22
페이지수 10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ys***** 가격 1,3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A++자료입니다)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 수술실 케이스, LLS(좌외측구역절제술) 케이스/A+보장
  • 수술실 사례환자 보고서 발표 1) 환자의 간호정보 2) 진단명 3) 수술명 4) 병리학 5) 수술 체위 6) 수술 전 간호(금식확인, 피부소독 범위, 수술 승낙서 확인, 정서적 지지) 7) 수술 중 간호 (기구 및 장비, 사용된 물품, 절차 및 간호, 마취종류,
  • 수술실 과제 성인간호학 기본간호학 간호학과
  • 수술기구를 준비한다. · 손 소독, 무균적으로 가운을 입고 장갑을 착용한다. · 수술부위를 제외하고 소독포로 덮는 것을 돕는다. · 수술과정에 외과의에세 필요한 기구를 제공한다. · 대상자의 신체 내에 물품이 남아 있는 일이 없도록 하
  •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 수술실 에서 직접 검사물을 검사실로 보내는 경우와 일단 검사물을 병실로 보내서 그 곳에서 검사물 용지와 함께 검사실로 보내는 경우가 있다. (3) 환자가 일단 수술실을 나온 후에는 수술시 사용한 모든 기구는 소독액에 담가 씻는 다. (4

소개글

수술실 실습시 작성한 보고서 입니다.
사진을 첨부하여 이해하기 쉽게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Ⅰ. 수술실 사용 기구
1. Clamps
2. Forceps
3. Scissors
4. Retracter
5. 그 외

Ⅱ. 봉합사

Ⅲ. 봉합바늘
1. Needle points
2. Needle body
3. Eye of needle
4. Needle of swage
5. 봉합방법

Ⅳ. 지혈제

Ⅴ.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의 역할
1. 소독간호사
2. 순환간호사

본문내용

[성인간호학] 수술실 기구, 수술실간호사가 하는 일
Ⅰ.수술실 사용 기구
1. Clamps
① 조직이나 혈관을 잡거나 지지하고 누르는 데 이용하며 혈관을 잡을 경우 흔히 지혈 목적으로 사용한다.
② 크기에 따라 Mosquito, crile, kelly, kocher 등이 있다.
③ 크기가 큰 것은 조직을 잡을 때 사용한다.

Mosquito
crile
kelly
kocher

<중 략>

Ⅱ.봉합사
1. 흡수성과 비흡수성
1) 흡수성 봉합사(absorbable sutures)
① 건강한 동물에서 콜라겐을 추출하거나 인공적으로 합성한 것으로 FDA에서 승인한 색깔로 되어 있다.
② 자연 흡수되어 이물작용이 없으며 염증이 있을 때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조직치유 시 분비물이 많이 나와 세균이 자라기 쉬우므로 피부봉합에는 적절하지 않다.
③ 감염이 있을 때나 영양 상태가 좋을 때는 흡수기간이 짧아진다.
④ 종류 : Dexon suture, Vicryl suture, PDS suture

<중 략>

기본 수술 복장 외에 철저한 외과적 손 소독을 하고 소독 가운과 소독 장갑을 착용
1.절차에 따라 손을 소독한 후 수술가운을 입고 closed method로 장갑을 낀다.
2. 수술에 대비하여 기계상의 기구들을 준비한다.
3. 수술시작 전에 순회간호사와 함께 거즈, 패드, 기구, surgical blade, 바늘 등을 센다.
4. 국소마취인 경우에는 약명과 용량을 순회간호사와 같이 확인하고 준비한다.
5. 소독간호사의 자리에서 기구를 안전한 방법으로 집도의에게 확인하고 건네준다.
6. 수술 중 거즈와 봉합사, 물품, 장비 등을 제공하고 수술 진행에 따른 요구를 예견하고 준비한다.
7. 수술 부위 주위를 깨끗이 정리하고 기계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한다.
8. cavity 봉합 직전, cavity 봉합 후 , 피부봉합 직전에 거즈, 패드, 기구, surgical blade, 바늘 등을 정확히 계수하고 기록한다.
9. 피부봉합이 끝난 후 피부 절개부위의 피를 닦기 위한 젖은 거즈와 드레싱을 준비한다.
.
10, 모든 기구를 정확히 계수한 후 세척 및 소독을 의뢰한다.
11. 다음 수술을 위해 순회간호사와 함께 방을 정리한다.
12. package, 세트, 거즈, 물품을 정돈하여 다음 수술에 대비한다.
-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 과정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 수술 부위를 제외하고 소독포로 덮는 것을 돕는다.
- 혈액의 손실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한 세척 용액을 계산해 둔다.
- 새로운 수술실 간호사를 교육시킨다.
2. 순환간호사
기본적인 수술실 복장만 갖추면 됨
1. 환자가 들어오기 전에 방을 정리 정돈하고 장비가 잘 작동되는지 점검한다.
2. 수술침대의 어스선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3. 장시간의 수술로 인한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수술침대 위에 젤패드나 스펀지를 적용한 후 시트를 펴 둔다.
4. 환자가 수술실에 입실하면 수술스케줄, 등록번호 등을 참고하고 개방형 질문을 이용하여 환자를 확인한다.
5.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고 보온해준다.
6. 환자를 수술침대에 옮긴 후 수술 전 전신피부상태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7. 억제대를 적용하기 전 환자에게 필요성을 설명하고 필요부위를 고정한다.
8. Bovie plate의 부착부위, 피부와의 접착 상태 등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9. 기구상 위에 소독포, 기구, 수술에 필요한 물품들을 편다. 펴기 전에 반드시 소독확인표(indicator)와 유효일자를 확인한다.
10. 소독간호사와 함께 거즈, 패드(pad), 바늘, surgical blade 등을 센다.
11. 수술팀의 가운 입는 것을 도와준다.
12. 무영등의 초점을 맞추고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발판을 놓아준다.
13. 수술침대의 양쪽에 거즈통을 놓아주고 흡인기와 전기지혈기 등 수술에 필요한 장비들을 연결한다.
14. 수술이 시작되면 수술방 문을 닫아 양압을 유지하고 출입을 최소한으로 한다.
15. 수술의 진행에 따라 수술팀에게 필요한 것을 공급하며 수술실을 정리 정돈한다.
16. 담당 수술실 내에 머물면서 수술 동안의 환자 상태와 진행을 파악하고, 수술에 필요한 물품 등을 준비하고 공급한다.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성인간호학] 수술실 기구, 수술실간호사가 하는 일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정신간호학 실습 Case Study - 치료적 비치료적 의사소통 방어기전 관찰 기록지 이상행동관찰
  • 정신간호학 실습 Case Study - 치료적 비치료적 의사소통 방어기전 관찰 기록지 이상행동관찰 대상자 이름 : 권○ •연령 및 성별 : 61 / M •진단명 : 조현병(SPR) • 면담장소 : ㅇㅇ병원 일시/ 대상자의 행동 및 대화/ 학생의 행동 및 대화/ 학생행동의 이론적 근거 (사용한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평가 안녕하세요. 학생간호사 ㅇㅇㅇ 입니다. 권○님 맞으세요? 네 맞습니다. 제가 권○입니다. 아, 권○님~ 이곳에서 쪼그리고 앉아 두 손을 모으고 계시네요. 이러고 계시는 이유가 있으세요? 관찰하기 : 관찰한 것을 환자에게 말해줌 관찰한 것을 대상자에게 말해줌으로서 대상자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파악하도록 도움을 줌 아 예, 지금 주문.. 주문을 외우고 있습니다. 주문.. 이라면..? 개방형 질문하기 : 생각을 끌어내고, 환자의 반응을 이끌어 냄 대상자의 생각과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게 개방형으로 질문하였음
  • A+)성인간호학 수술실 사전학습, 수술실 실습, 수술실 교육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 A+)성인간호학 수술실 사전학습, 수술실 실습, 수술실 교육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1. pain control 1) 마약관리 * 모든 마약은 마약 금고에 보관해야 한다. * 간호사는 마약 금고의 열쇠를 이동할 시에는 책임을 진다. * 근무 교대 시 두 명의 간
  • A+++자료입니다)급성 충수돌기염(맹장염)케이스, 간호진단 3개, 성인간호학 실습//A+보장
  • A+++자료입니다)급성 충수돌기염(맹장염)케이스, 간호진단 3개, 성인간호학 실습//A+보장 1) 서론 급성충수염은 충수에서 발생하는 염증 중에서 가장 흔한 질환으로 주로 20~30대에서 발생하는 염증으로 GS(일반외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다. 충수돌기염은 수술만 한다면 완쾌될 수 있고 의료기술이 발달한 선진국에서는 수술 당일 퇴원을 고려할 만큼 회복이 빨라 질병을 간단하고 가볍게 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충수돌기염은 진단시기가 지연되면 범복막염으로 퍼지게 되고 염증이 복강 내로 퍼져 수술이 어려울뿐더러 예후도 좋지 않다. 그래서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충수염에 대해 알아보고 대상자를 사정하여 수술 전, 후의 간호를 익혀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치료를 돕고자 이 Case를 정하게 되었다. 2) 자료 및 방법 자료를 모으기 위해서 간호사 선생님들을 따라다니며 환자에 대해 관찰하였고 간호 기록지, EMR, 대상자와의 면담 등을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여러 성인간호 책들을 조사하여 질환에 대해 문헌고찰 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Case를 작성하였고 그 중 대상자와의 면담을 가장 중시하였다. 3) 문헌 고찰 질환명 : Acute appendicitis 정의 충수염이란 맹장 끝에 6~9cm 길이로 달린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충수염은 진행된 정도에 따라 급성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성 충수염 등으로 분류된다. (1)급성 충수염(Acute appendictis) 점액이 축적되면 세균이 점액을 감염시켜 충수 내공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림프관이 폐쇄되어 충수에 궤양이 생기고 부종이 나타난다. (2)화농성 충수염(Suppurative appendictis) 충수 내공의 압력이 증가하면 정맥 혈류를 차단, 부종과 허혈이 일어나고 장막의 염증이 벽 측 복막으로 파급되어 통증이 점차 우하복부로 이동한다. (3)괴저성 충수염(Gangrenous appendictis) 정맥 내 혈전과 동맥혈류 감소로 괴저가 되는데, 특히 장간 막 반대쪽 중간부위에 많이 발생하며 천공 유발의 원인
  • 조현병 간호 간호과정 :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 조현병 간호 간호과정 :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Ⅰ. 서론 우리는 시나리오에서 조현병으로 진단 받은 xxx님을 만나게 된다. 현재 xxx님은 계속 병식이 없고 질병의 특징적 증상도 많이 사라져 퇴원을 예정 중이다. xxx님의 남은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정신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간호를 수행해야하므로 우리는 정신간호학을 참고하여 조현병의 간호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Ⅱ. 본론 1. 간호진단 ⦁ 간호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이미 서술한 환자의 정신건강상태, 신체건강상태, 기능수준 스트레스와 대응자원 및 대응기전 지지체제 등을 고려해서 위급한 상태부터 우선 순위화 하여야 한다. 1) 정신분열병(조현병, schizophrenia) ① 특징적 증상 (2개 또는 그 이상의 증상 발현. 각 증상은 1개월 중 상당기간 존재) :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심하게 와해된 행동 또는 긴장증적 행동, 음성증상 (정서둔마, 무논리증 또는 무욕증) ② 사회적, 직업적 기능부진 : 발병 후 상당한 기간 동안 직업, 대인관계, 자기관리기능에서 한 개 이상이 발병 전과 비교해 현저히 감소 ③ 기간 : 장애의 징후가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기준①의 증상이 최소한 1개월 포함됨) ④ 분열정동장애와 기분장애가 아님 ⑤ 물질 및 일반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님 ⑥ 조현병의 분류 2) 정신분열형 장애 - 조현병 진단기준인 특징적 증상(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음성증상 등)과 분열정동장애와 기분장애, 물질 및 일반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닐 경우 3) 분열정동장애 (Schizoaffective disorder) - 주요 우울증, 조증, 또는 이의 혼재성 삽화 가운데 하나가 지속되는 기간 동안에 조현병 진단증상들이 동반함. - 동일한 장애기간 중 망상이나 환각이 현저한 기분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최소 2주 이상 - 활성기화 잔류기를 포함한 신체 장애기간 가운데 기분 삽화의 진단기준을 충족시키는 증상들이 상당기간 존재함. - 장애가 물질이나 일반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님. 4) 망상장애 (delusional disorder) - 기괴하지 않은 망상(추적망상, 독약망상, 색정망상, 부정망상 등)이 최소한 1개월간 지속 - 조현병의 진단기준이 충족되지 않음. - 망상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능수준과 행동은 손상이 없음. - 장애가 물질 또는 일반적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님. 5) 단기정신병적 장애 (brief psychotic disorder) -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 중 하나 또는 그이상의 증상이 있음. - 와병 기간은 적어도 1일 이상 1개월 이하이고 병 전 기능수준으로 회복함. - 기분장애, 분열정동장애, 조현병이 아니며 물질이나 일반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님 -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한 것, 뚜렷한 스트레스 요인은 없는 것, 출산 후 4주 이내에 증상이 발현이 된 것 등으로 세분함. 6) 공유 정신병적 장애 (이중정신병, shared psychotic disorder/folie a deux) - 이미 망상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개인에서 망상이 유발됨. - 이미 망상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의 망상과 망상내용이 유사함. - 조현병이나 정신병적 증상이 있는 기분장애가 아니며 물질이나 일반의학적 상태의 영향이 아님. 2. 간호계획 및 수행 - 서술한 환자의 정신건강 상태, 신체건강상태, 기능수준 스트레스와 대응자원 및 대응기전 지지체제 등을 고려→ 위급한 상태부터 우선순위로 둠. 정신분열병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환자에게 내려질 수 있는 간호진단 ● 언어소통장애 ● 감각지각장애 ● 사회적 상호작용장애 ● 사고과정 장애 ● 방어적 대응 ● 사회적 고립 ● 자기/타인에 대한 폭력 위험성 ● 자가 간호 결핍 ● 비효율적 역할 수행 ● 비효율적 치료요법 이행 ● 영양 부족 ● 비효율적 대응 ● 자살 위험성 ● 불이행 ● 절망감 ● 의사결정 갈등 ● 기억장애 ● 급성 혼돈 ● 자아정체성 장애 ● 가족대응의 발전가능성 ● 성기능장애
  • 성인간호실습 수술실 케이스 - 갑상선암(다빈치 로봇 갑상선절제술) 수술과정+간호과정 5개 (A+)
  • 때 더 주의해야 한다.) 갑상선은 여러 개의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엽 하나 당 20~40개의 여포세포로 구성이 된다. 여포세포에는 Triiodothyronine(T3)과 Thyrocine(T4)이 저장되어 있다. 1. 수술환자 기본사항 2. 수술실 관리 3. 회복실 관리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