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아의 자해행동(Self-Injuriour Behavior)의 치료
본 자료는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자폐아의 자해행동(Self-Injuriour Behavior)의 치료

자료번호 m79077
수정일 2012.09.25 등록일 2002.08.04
페이지수 3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p4** 가격 7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아동의 자해행동 지도 사례
  • 의 자해행동 유형을 말하며 다양성을 말하고 있다.일정한 행동을 계속 반복하는 양식 때문에 자해행동은 상동행동(stereo typed behavior)과 구분하기 힘들 때도 있다. 그러나 우리가 쉽게 구별할 수 있는 것은 신체상에 입는 손상정도로 볼 수 있을
  • 자폐성 장애아동의 미술치료
  • 치료의 의미는 자폐증들이 가진 여러 가지 핸디캡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최대의 정상화, 사회 적응을 도와주려고 노력하는 것에 근본적인 의미를 두고 있다. 그러므로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자폐아 치료는 놀이요법, 행동수정요법, 특수요법,
  • 아동의 자폐증, ADHD, 정신지체
  • 의 자폐증 진단지침 7. 평가의 과정: 평가의 기본 원칙 8. 영화 레인맨 - 실제인가 허구인가? 1) 영화 레인맨(Rain Man) 2)이런 능력은 흔한 것인가? 도대체 어떤 것일까? 9. 치료 방법 1)상호작용치료 2)통합치료 3)일상생활치료 4)행동치료 5)

소개글

자폐아의 자해행동(Self-Injuriour Behavior)의 치료 자료입니다.

목차

본 자료는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본문내용

니콜라스(Nickolas)는 금년에 12세된 자폐아동으로서 특별히 자신의 얼굴을 오른손 주먹으로 수시로 때리는 자해행동을 보인다. 이로 인하여 항상 얼굴의 오른쪽 부위가 부어있거나 멍들어 있다. 니콜라스의 자해행동은 특히 학교에서 흔히 일어나며, 자신이 원하지 않는 일을 하는 경우나, 원치 않는 분위기에 들어가면 어김없이 자해행동을 보인다. 지금까지 여러 가지 방법을 써보았으나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않을 뿐아니라 사춘기에 접어들어서는 그 강도가 더욱 세어지기 때문에 주변의 가족과 특수학급교사들을 더욱 근심케 하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자해행동으로 인하여 얼굴에서 피까지 흘리는 경우가 다반사로 일어나고 있어서 긴급히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강구해야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일반적으로 경증 정신박약아 혹은 행동 및 정서장애아들은 타인에 대한 공격행동(Aggressive Behavior)을 보이는데 반하여 자폐아와 같은 중증 정신장애아들은 자신에 대한 공격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자신에 대한 공격 및 상해행동을 자해행동(Self-injurious Behavior)이라 한다. 자폐아들이 보이는 자해행동은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형태는 벽이나 가구에 머리를 받치는 두부상해(Head-banging), 딱딱한 물건에 손이나 발로 강타하는 수족상해(Arm-banging), 자신의 주먹으로 머리나 얼굴을 강타하기, 자신의 신체부위를 꼬집기, 손가락으로 눈이나 목을 찌르기 등이다. 이 자해행동을 심하게 보이는 아동들은 언제나 심각한 안전문제(Safety Problem)를 일으키고 종종 기절하는 사례가 관찰되기도 하며 심지어는 목숨을 잃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을 억제하기 위한 긴급수단으로 신체적 제지(Physical restraint)나 신체의 움직임을 억제시켜주는 자켓(Camisole)을 입히기도 하고 혹은 침상이나 의자에 결박하는 임시방편을 쓰는 경우가 많다. 어떤 경우에는 자해행동이 짧게 간헐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때로는 한 번 시작하면 여러시간 지속되는 경우 어쩔수 없이 안전과 생명을 위해 위의 열거된 방법의 사용을 배제할 수 없다.
사실 자해행동은 이를 보이는 당사자 아동에게도 큰 문제이기도 하지만 가족이나 직접적인 치료를 담당하는 전문치료사에게도 큰 문제를 안겨준다. 먼저 아동자신에게는 이 자해행동으로 인하여 상해된 부위가 곪거나 다른 병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고 아울러 이로 인하여 아동을 돌보는 주변사람에게 위생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더욱 아동에게 위협적인 것은 안전적 이유로 위에 열거한 방법으로 아동을 결박할 때에 아동에게 미치는 심리적 압박감과 공포감은 아동의 정상적 정서적 성장발육에 막대한 장애를 가져다 준다. 따라서 위에 열거된 Restraint나 결박의 방법은 가장 긴급한 경우에 한해서 사용이 제한적으로 허용되어야 하며 보통때에는 절대적으로 사용되어서는 안되는 방법이다.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자폐아의 자해행동(Self-Injuriour Behavior)의 치료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자해 및 상동 행동 치료 프로그램 (레포트월드에 한글자료도 있음)
  • 자해 및 상동 행동 치료 프로그램 (레포트월드에 한글자료도 있음) 1. 자해 / 상동행동의 정의상동 행동 명백한 적응기능 없이 발생하며 자신에게 감각송환 (sensoryFeedback)의 목적으로 행해지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자해 행동 자신에 의해 유발된 개인의 신체적 손상을 초래하는 행동 자해 / 상동행동의 구분 유사하지만 신체적 손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자해 및 상동행동을 구분함. 2. 자해 / 상동행동의 문제점 적응 행동 습득과 바람직한 행동의 활용에 장애. 자극 및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반응을 방해. 기초적인 학습을
  • [자폐]자폐아(자폐증아동, 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의 행동, 자폐아(자폐증아동, 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의 진단특성과 다양한 자폐아(자폐증아동, 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 치료교육 방법 사례
  • [자폐]자폐아(자폐증아동, 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의 행동, 자폐아(자폐증아동, 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의 진단특성과 다양한 자폐아(자폐증아동, 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 치료교육 방법 사례 자폐증의 원인에 대해 자폐증 연구 초기에는 심리적․환경적 원인에서 찾고자 하였고, 이후에는 인지, 정보처리, 언어 기능과 같은 인지 체계의 결함으로 설명하려 하였다 (Braverman, Fein, Lucci & Waterhouse,1989). Rutter(1983)는 자폐 아동의 ¾ 이 정신지체이며, 언어와 추리력에 분명한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인지적 결함이 가장
  • 자해 행동에 대해서
  • 3. 자해행동의 원인에 대한 가설 1) 심리 역동적 가설 (psychodynamic hypothesis) 자해행동에 대한 프로이드식 해석은 자기발정(autoerotic) 혹은 자기공격적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정신 분석학적 이론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어떤 실험적 검증은 불가능한 것이다. 2) 기질적, 정신약리학적 가설 (organic and psychopharmacological hypothesis) 드물기는 하지만 자해행동을 나타내는 증후군이 있는데, Lesch-Nyhan증후군과 de Lange증후군이로, 이 두 증후군의 발견은 자해행동이 외부의 어떤
  • 아동의 자해행동 지도 사례
  • 아동의 자해행동 지도 사례 1. 자해행동이 뭐예요? 자해행동(Self-injurious Behavior)은 자신에 의해 유발된 개인의 신체적 손상을 초래하는 행동으로서 타박상(bruising), 열상裂傷aceration), 출혈(internal or external bleeding), 골절(fractures, breakages) 그리고 피부와 관련된 상처를 말한다.일반적으로 경증 정신지체아나 행동장애아들은 타인에 대한 공격행동을 보이는데 반해, 자폐아나 중증 정신지체아들은 자신에 대한 공격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2.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죠? 자해행동
  • 자폐아의 문제행동이 갖는 의미
  • 일반적으로 자폐아의 문제행동들에 대하여 언급할 때,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행동이나 자해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이외에도 반향어(echolalia)와 같은 언어 소통상의 문제점, 대인관계 형성의 결핍과 같은 사회성의 문제 그리고 한 가지 일에 집착하여 반복적으로 그 일을 하는 행위 등도 자폐아의 부모들에게 심각한 걱정거리이다.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