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반응, 과민증, Hypersensitivity!!
본 자료는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과민반응, 과민증, Hypersensitivity!!

자료번호 m833421
수정일 2012.03.13 등록일 2012.03.13
페이지수 3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tr***** 가격 1,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과민반응, 과민증, Hypersensitivity에 관한 자료입니다~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Anaphylaxis 형(즉시형, Ⅰ형)
- 어떤 항원으로 감작되어 있는 개체에서 동일한 항원에 재노출시 비만세포, basophil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항체와 결합하여 과민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신속하게 반응함.
- 항원이 B-cell을 자극하여 IgE형성 ; 표면항체로 과민증에 관여, 기생충 감염의 방어 역할
- mast cell로 부터 histamine유리 ; 모세혈관 투과성 항진, 혈관확장, 기관지 평활근수축, 점액 분비증가.
- 기관지천식, 고초열(Allergy성 비염), 항원에 노출된 부위의 피부나 점막에 발생.





2) Cytotoxic hypersensitivity[항체의존성(ADCC), 세포독성과민증, Ⅱ형]
- 항체가 세포표면에 존재하는 항원과 결합하여 보체계를 활성화시키고 그 결과로 세포융해 유발.
-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태아적혈구 모세포증, 수혈반응, 말의 전염성 빈혈.
- Goodpasture syndrome ; 사구체 신염의 환축, 사구체의 basement membrane의 변형으로 인한 자가항체의 출현.






3) Immune complex disease(면역복합체성, Ⅲ형)
① 염증반응 ; 항원항체복합체가 체조직에 축적되고 여기에 보체가 결합함으로써 일어나는 반응.
② Arthus reaction(국소성) ; 혈관염이 특징, neutrophil이 혈관 주위에 침착.
③ Serum sickness type(혈청병형)
-제1기 ; 순환혈액내 항원-항체복합체 형성
-제2기 ; 여러 조직내 면역복합체 침착 → 혈관의 투과성 증가
-제3기 ; 염증반응 유발
④ 면역복합체성 손상의 형태학적 소견
-급성괴사성 맥관염
-미세혈전
-다발성의 빈혈성 괴사
-급성 사구체 신염
-만성형 ; 전신성 홍반성 낭창

본문내용

과민반응, 과민증, Hypersensitivity!!
1) Anaphylaxis 형(즉시형, Ⅰ형)
- 어떤 항원으로 감작되어 있는 개체에서 동일한 항원에 재노출시 비만세포, basophil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항체와 결합하여 과민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신속하게 반응함.
- 항원이 B-cell을 자극하여 IgE형성 ; 표면항체로 과민증에 관여, 기생충 감염의 방어 역할
- mast cell로 부터 histamine유리 ; 모세혈관 투과성 항진, 혈관확장, 기관지 평활근수축, 점액 분비증가.
- 기관지천식, 고초열(Allergy성 비염), 항원에 노출된 부위의 피부나 점막에 발생.





2) Cytotoxic hypersensitivity[항체의존성(ADCC), 세포독성과민증, Ⅱ형]
- 항체가 세포표면에 존재하는 항원과 결합하여 보체계를 활성화시키고 그 결과로 세포융해 유발.
-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태아적혈구 모세포증, 수혈반응, 말의 전염성 빈혈.
- Goodpasture syndrome ; 사구체 신염의 환축, 사구체의 basement membrane의 변형으로 인한 자가항체의 출현.






3) Immune complex disease(면역복합체성, Ⅲ형)
① 염증반응 ; 항원항체복합체가 체조직에 축적되고 여기에 보체가 결합함으로써 일어나는 반응.
② Arthus reaction(국소성) ; 혈관염이 특징, neutrophil이 혈관 주위에 침착.
③ Serum sickness type(혈청병형)
-제1기 ; 순환혈액내 항원-항체복합체 형성
-제2기 ; 여러 조직내 면역복합체 침착 → 혈관의 투과성 증가
-제3기 ; 염증반응 유발
④ 면역복합체성 손상의 형태학적 소견
-급성괴사성 맥관염
-미세혈전
-다발성의 빈혈성 괴사
-급성 사구체 신염
-만성형 ; 전신성 홍반성 낭창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과민반응, 과민증, Hypersensitivity!!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우수평가자료] 과민반응(anaphylaxis) 레포트
  • 과민반응은 면역을 일으키는 물질이 체내로 투침할 때 저항력반응이 과도하게, 또는 부적당하게 일어남을 통하여 구성괴손을 발발시키는 반응으로 면역을 일으키는 물질 투침후 과민반응이 일어날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따라 직효형 과민반응과 지연형 과민반응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아나필락틱 반응은 과민반응의 1형이다. 제1타입 과민반응은 저항글로블린 igE에 의해서 중개된다. 1형 반응 발발기에는 개개인은 처음 그 알러지원에 맞는 igE 항독소를 생산하기 위하여서 B 림프구성 세포를 감작시키는 알러지원과 교섭해야한다. 알러지원과의 교섭뒤에 일어나는 결과로서 감작된 사람은 제1
  • 면역 결핍증 - AIDS(에이즈 HIV), 알레르기, 과민반응, 자가면역증
  • 면역 결핍증 - AIDS(에이즈 HIV), 알레르기, 과민반응, 자가면역증 b) HIV의 감염회로 (infectious cycle) - gp120과 host CD4 molecule과의 결합으로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부착하며, 숙주세포에 있는 chemokine receptor (CCR5)의 도움으로 막융합이 일어나 세포안으로 들어간다. - 숙주세포의 세포질에서 uncoating이 일어나며, 세포질에서 RNA genome의 역전사가 일어난다. - 핵 안에서 숙주의 DNA에 삽입되어 proviral DNA로 전환되며, 이 상태에서 바이러스의 활발한 증식이 나
  • 면역결핍 - 알레르기, 면역결핍증, 과민반응, 자가면역증
  • a) 다른 질병의 복합증세로 나타나는 면역결핍 : 영양실조 : Hodgkin's disease와 같은 암 : 감염증 b) 질병 치료 결과 발생하는 면역결핍 : corticosteroid나 cyclosporin A와 같은 면역억제제의 투여 : 항암 화학 요법제의 투여 :
  • 면역학-보체(complement), 과민반응, MHC와 조직이식
  • 면역학-보체(complement), 과민반응, MHC와 조직이식 1. 요약 Ⅰ. 보체계 (The Complement system) - 정상동물의 신선한 혈액 ․림프액 속에 함유된 효소 모양의 단백질의 일종이다. 예전에는 알렉신(alexin)이라고도 하였다. 열에는 약하고 혈청을 56℃로 30분 가열하면 파괴된다. 살균성을 가진다고만 알려졌는데 용혈현상(溶血現象) ․용균(溶菌)현상 ․보체결합반응에도 없어서는 안 되는 혈청성분으로 C'라고 약칭하며, C'1, C'2, C'3, C'4라고 표시되는 4개의 성분에 의하여 보체작용을 나타
  • 과민반응의 종류 및 특성
  • 1. 제 1형 과민반응 ‘제 1형 과민반응’은 이미 생성된 항체에 감작된 조직 세포와 원인 항원간의 반응으로 과민 반응이 시작된다. 항체에는 IgA, IgG, IgM, IgD, IgE 등과 같이 5가지 종류가 있는데, 이 중 IgE 항체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이 제 1형 과민반응이다. IgE항체는 비반 세포 (mast cell) 또는 호염기구 (basophil)의 표면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매우 높아 대부분 이들 세포와 결합되어 있다. 원인 항원이 재차 유입되어 이들 세포의 표면에 있는 특이 IgE항체와 결합하면 일련의 반응이 일어나서, 최종적으로 이들 세포 내의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