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것이 아름답다
해당 자료는 6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6
  • 구매만족

작은 것이 아름답다

자료번호 o277475
수정일 2012.09.22 등록일 2005.07.15
페이지수 6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fl******** 가격 1,3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작은 것이 아름답다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작은 것이 아름답다
(1.서론)
대학교를 오기 전에 독후감은 많이 써 봤지만 처음으로 서평을 쓴다는 것이 형식을 잘 몰라서 다소 어려운 일이었다. 더군다나 나는 父喪(부상)으로 인해 수업에 늦게 출석하게 되어서 서평을 쓰는 것이 과제로 돼있다는 것도 보고서 준비를 하면서야 알았다. 책의 종류를 보니 거의 모두가 딱딱한 느낌이 들고 있어서 되도록 이면 최근의 책을 읽으려고 도서관에 가서 찾았으나, 내가 책을 찾을 당시에는 남아 있는 책이 가장 오래된 책인 에른스트 프리드리 슈마허(짧게 슈마허라고 하겠음)의 ‘작은 것이 아름답다’밖에 없었다. 그래서 내가 이 책을 고르게 된 동기는 어쩔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슈마허가 말하는 작은 것이 아름답다 라는 말은 모두가 소유 할 수 있는 그런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것이다. 슈마허가 주장하는 바는 인간의 경제가 이득을 위해 일하기 때문에 그만큼 자연이나 다른 것에 대해 무관심 되게 마련이고 그 때문에 자연파괴나 전쟁이 일어날 것이므로 그것보다는 소박한 것이 낫다는 것을 서술 하고 있는 듯하다. 그가 주장하는 인간 중심의 기술을 개발하고 인간 중심으로 생산을 해야 한다는 것 유물주의를 버려야 한다는 것이 이 책에 서술 되어있는 주된 내용이다. 이 책은 총 4개의 부로 나누어져 서술되어 있다. 본문은 현 경제정책이 지향하는 것이 어떤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는지를 진단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식으로 논제를 풀어나간다. 본론에서 내용을 간단히 제시하고 결론에서 필자의 생각을 조금이나마 말하고자 한다.
(2.본론)
먼저 생산의 문제에서는 인간이 기술을 개발하고 많은 물자들을 생산해 나가는데 자원을 보전하는 데는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을 시사하고 있다. 인간이 더 많은 소득을 위해서 자원이라는 중요한 자본을 망치고 있다는 것이며 자연을 사용하고 재생산 할 수 없게 만들며 물자를 생산하는 것이 바로 생산이라 착각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그리하여 슈마허는 바로 그러한 자본으로서 화석연료, 자연의 허용한도, 인간성 세 가지를 들고 있다. 이러한 것들을 고치기 위해 새로운 생산 방법과 소비 생활에 의한 새로운 생활양식을 만들어 내도록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 바로 슈마허의 주장이다.
평화의 가장 확실한 기둥은 모든 사람이 번영하도록 하는 일이라는 의견이 오늘의 지배적인 경향이라고 한다. 하지만 과거를 뒤돌아 봤을 때 부유하다고 해서 그들이 가난한 자들보다 항상 평화로웠다는 사실은 옳은 명제가 아니다. 때문에 슈마허 그는 부자가 가난한 사람들을 두려워했다고 주장한다.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E. H. carr의 강의인 책 '역사란 무엇인가'의 정리
  • E. H. carr의 강의인 책 '역사란 무엇인가'의 정리 제 1장 역사가와 사실 ※ 역사란 무엇인가? - 액턴과 조지 클라크 경 두 사람의 견해 차이는 이들 두 사람이 살았던 시대 사이에서 나타났던 전체적인 사회관의 변화를 반영해 주고 있습니다. 액턴은 빅토리아 시대 후기부터 나타난 긍정적인 신념과 자신감을 표명하고 있는 데 반하여, 조지 클라크는 비트 세대의 불안함과 산만한 회의주의를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액턴과 조지 클라크 경의 견해는 13p에 나와 있음 ※ 사실을 존중했던 시대 - 19세기는 사실을 매우 존중했던 시대였습니
  • h_e실험(광전효과)
  • h_e실험(광전효과) 이번 실험은 빛의 이중성을 확인해보기 위한 실험 중 하나로서, 특히 광전효과에 대한 실험이었다. 우리는 이번 실험을 통해 빛에는 파동성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무언가가 있으며, 빛은 파동성과 동시에 입자성도 가지고 있음을 알아보려 하였다. 그렇다면 기존의 빛의 파동설을 가지고 설명될 수 없는 물리적 현상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었는지 알아보자. (1) 파장 문제 만일 빛이 파동의 성질을 지닌 연속적인 흐름이라면, 어떤 파장의 빛을 비추더라도 충분히 오래, 그리고 밝게 비추기만 하면, 전자는 에너지를 모았다가 충분한 에너지가 쌓이면 튀어
  • [독후감] E. H 카의‘역사란 무엇인가’를 읽고.
  • [독후감] E. H 카의‘역사란 무엇인가’를 읽고. [독후감] E. H 카의‘역사란 무엇인가’를 읽고.(역사란 무엇인가 줄거리, 역사란 무엇인가 독후감, 역사란 무엇인가 느낀점, 역사란 무엇인가 감상문, 역사란 무엇인가 내용, 역사란 무엇인가 요약) 역사란 무엇인가?... 그 물음에 대하여 나는 오랜 고민 끝에 국어사전을 뒤져 보았다. 거기엔 아주 간단명료하게 문명과 문화가 지나간 그 흔적이나 자취라고 대답한다. 그러나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부터는 역사가 단순히 사전에의 기록처럼 그렇게 단순히 홀로 존재하지는 않는다는 것, 그리고 이 역사라는 문제는 매우
  • [역사학] E. H. 카 - 역사란 무엇인가
  • [역사학] E. H. 카 - 역사란 무엇인가 2) E. H. Carr의 생애와 학문적 활동 1892년 6월 28일에 잉글랜드 런던에서 태어나 1982년 11월 3일 케임브리지셔 케임브리지에서 타계한 카교수는 영국이 낳은 금세기의 대표적 사가였고 특히 그의 저작들이 말해주듯이 소비에트 러시아사 연구에 탁월한 업적을 남긴 사가였다. 또한 그는 『역사란 무엇인가?』등을 통해 역사학의 이론 확립에 가장 가치 있는 공헌을 한 역사철학자 중의 1인이기도 했다. 카는 케임브리지대학교의 트리니티 칼리지(Trinity College)를 졸업한 다음 1916년부터 영국의 외무
  • 역사는 과학인가 - 베리-트레벨리언 논쟁, 계량사학, P. Bagby의 역사 과학 유사점, 차이점, E. H. Carr의 역사 과학성 논박
  • 역사는 과학인가 - 베리-트레벨리언 논쟁, 계량사학, P. Bagby의 역사 과학 유사점, 차이점, E. H. Carr의 역사 과학성 논박 역사는 과학인가 - 베리-트레벨리언 논쟁, 계량사학, P. Bagby의 역사 과학 유사점, 차이점, E. H. Carr의 역사 과학성 논박, 역사는 과학인가 실제 사례, 역사는 과학인가 조사 1. 머리말 20세 초 역사를 과학으로 간주하려는 주장은 베리(John B. Bury : 1861-1927)에 의해 강력하게 제기되었다. 베리는 케임브리지 대학 액튼 경의 후계자였으며 고전어학에 깊은 조예가 있었고, 철학에도 큰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