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목제의 최첨단 이용
해당 자료는 25페이지 중 8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25

21세기 목제의 최첨단 이용

자료번호 o359179
수정일 2012.10.10 등록일 2006.06.16
페이지수 25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si** 가격 3,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21세기 목제의 최첨단 이용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 2 장 목재의 구조와 특징
제 1 절 목재의 구조
제 2 절 목재의 성질
제 3절 나무의 종류
제 4 절 가공재의 종류

제 3 장 선조들의 목재 이용
제 1 절 한지

제 4 장 목재의 첨단 이용 기술
제 1 절 불에 안타는 벽지 개발
제 2 절 자동차 내장재로 활용
제 3 절 에너지로서 목재의 이용
제 4 절 셀룰로오즈의 첨단 이용
제5절 온돌 강화마루

제 5 장 목탄의 첨단 이용기술
제 1 절 목탄의 특징
제 2 절 목탄으로 섬유염색
제 3 절 목탄을 이용한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악취 제거
제 4 절 목탄수질 정화 시스템
제 5 절 기타

제 6 장 폐목재의 자원화
제 1 절 건축용 재료로서의 재이용
제 2 절 폐목재의 유화
제 3 절 폐지의 자원화
제 4 절.폐지펄프의 이용

제 7 장 신소재
제 1절 특성
제 2절 용도

제 8 장 결론

본문내용

21세기 목제의 최첨단 이용
제 1 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우리의 주변을 둘러보자. 소파, 의자, 액자등 우리들은 나무로 만들어진 제품들을 일상 생활속에서 많이 접할 수 있다. 이런 목재는 인류의 오래전부터 같이 있어왔다. 인간을 위한 안식처가 되어 주기도 하고 난방을 위해 많이 목재들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목재들이 이제는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그 사용에 있어서 옛날과는 비교 할 수 없게 바뀌어 졌다.
이렇게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목재의 특징을 잘 파악하고 목재의 가치를 더욱 높여 사용하는 것이 우리의 목적이 되겠다.
제 2 장 목재의 구조와 특징
재료적인 특성으로서는 가벼우면서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갖는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연필 굵기의 목재에 어른 5명이 매달릴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하다. 같은 굵기의 강철과 비교해 보면 강철은 50명이 매달릴 수 있으나 그 무게는 목재의 20배에 달한다. 그리고 목재는 대패나 톱 등 비교적 간단한 도구로도 쉽게 여러 모양을 만들 수 있고 다른 재료와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친밀감을 느낄 수 있는 향기와 모양이 아름다운 무늬가 있고 인간에게 따뜻한 친근감을 주는 재료이다. 또한 소리의 반사와 흡음성(吸音 性)이 우수하여 악기의 대부분이 목재를 기본 재료로 하고 있다.
반면에 단점은 나무의 종류와 켜는 방향에 따라 성질이 일정하지 않고 흡습과 방습에 의하여 수축 팽창하는 성질이다. 주위의 수분변동에 따른 목재의 수축팽창은 단점인 동시에 습도를 조정해 줄 수 있는 중요한 장점이다. 또 생물체이므로 벌레 먹고 썩으며 불에 타는 성질 등 비교적 내구성이 약한 재료이다.
제 1 절 목재의 구조
< 그림 1.1 > 목재의 구조
식물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포는 세포막․세포질․세포핵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핵과 세포질을 원형질이라 하며, 부름켜가 분열하여 세포가 성장하면서 나무가 성장한다. 나무는 잎․줄기․뿌리로 나눌 수 있으며, 줄기 부분이 목재로 이용된다.
1. 나이테
<그림 1.2 > 나이테
나무의 목질부에는 수심을 둘러싼 동심원이 있는데, 이것을 나이테라고 한다. 목재는 일반적으로 봄에서 여름까지 성장(춘재)하는 속도가 가을에서 겨울을 지나는 동안의 추운 상태에서 성장(추재)하는 속도보다 훨씬 빠르다. 나이테는 이러한 춘 재와 추재가 한 쌍을 이루어 만들어진 것이다. 나이테는 춘재와 추재가 1년을 통하여 반복되어 수심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만들기 때문에 사계절의 구분이 분명하지 않은 열대림 중에서도 우기와 건기가 있는 곳의 나무는 나이테가 생기지만, 비가 많이 오는 곳에서 자란 나무는 나이테가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춘 재 : 세포의 크기가 크고 세포막이 얇으며, 세포 내강이 크기 때문에 다공성을 나타낸다. 춘재는 조직이 가볍고 색깔이 연하며, 생장기의 초기에 자란다는 뜻으로 조재라 부르기도 한다.
추 재 : 초여름 이후부터 자란 세포는 크기가 작고 세포막이 두꺼우며, 세포 내강이 작고 조직이 치밀하여 색깔이 진하다. 추재는 초여름 이후부터 자란 것으로, 만재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을에는 제대로 생장하지 못하는데, 일종의 월동 준비 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15&article_id=0000520778
첨단기술 개발..석학에 듣는다] 금호국제과학상 英 데이비드 발콤 박사

불에 안타는 벽지 개발 성공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25&article_id=0000149064

미생물이 생산하는 셀룰로오즈분해효소 실용화
http://www.kordic.re.kr/%7Etrend/Content236/life06.html

한지의 비밀
http://www.kordic.re.kr/%7Etrend/Content236/life06.html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21세기 목제의 최첨단 이용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