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한국의 민속 기말 정리자료
해당 자료는 18페이지 중 6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8

현대한국의 민속 기말 정리자료

자료번호 o670441
수정일 2010.06.13 등록일 2010.06.13
페이지수 18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im***** 가격 3,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영남대학교 현대한국의 민속 인터넷 강의 기말 정리 자료입니다..

강의 직접보면서 정리한것 입니다..교수님 말씀하시는거 까지 다 적었습니다.

이거 찾으면서 시험치시면 가의 맞추실수 있을겁니다..

목차

9~14주차

본문내용

현대한국의 민속 기말 정리자료
9주차 농경세시와 사회적 시간
1. 농경세시와 사회적 시간
- 세시풍속 : 설, 추석, 정월보름, 오월단오, 칠월칠석, 한가위 등 계절 별로 있는 명절을 일컬음
- 한국사회는 전통적으로 세시풍속이 지켜져 옴
- 개념 : 세, 년, 수확 -> 하나의 단락(계절적, 주기), Social Time(사회적 시간)
- Calendrical custom
Seasonal festival
- 인간사회와 우주와의 상호관계를 중시한다는 것이 서양과의 비교되는 특징이다.
- 농경신에 대한 의례이다.
- 물리적 시간을 사회적 시간으로 전환하는 의례
- 조상숭배의례(孝)와 관계있다.
- 음양사상이 토대를 이룬다.(주역 - 원형이정)
부 천 원 元(봄) - 모든생명을 잉태 양
형 亨(여름) - 모든 것을 육성
모 지 이 利(가을) - 수확 음
정 貞(겨울) - 곧음
- 자손이 정성을 다하여 신에게 제사를 지냄으로써 신은 자손에게 복을 내린다고 믿음.
우리의 의식 속에는 교환체계(System of exchange)가 존대한다.
2. 세시풍속의 형성
- 세시풍속은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특히 농, 공, 광업 등과 같은 생업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답작지대나 전작지대, 산간지대에 따라서 세시풍속이 상이하다. (자연환경) (전라도, 경기도 -> 추석문화권)
- rites(의례) : 의례를 통하여 결속력을 다진다.
- 너무 결속되어 다른 마을에 대해 배타적인 성격을 가진다. (경상도 -> 추석, 단오 문화권)
- (북쪽 -> 단오권)
- 한 사회의 역사성과 사회성(계층)에 영향을 받는다.
역사의 변화에 따라 세시풍속도 변화하고 집단의 성격에 따라서 세시풍속 또한 변형된다.
- 가정의례준칙, 갑오경장 등의 사회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 자연환경, 역사성, 사회성이 세시풍속에 영향을 줌.
3. 한국세시풍속의 특징
- 기복과 기풍행위가 동원된다.
-> 기복행위 : 복조리, 입춘대길이라고 써서 대문에 붙이는 것, 부름, 지신밟기

-> 기풍행위 : 머슴날, 축일(소날)
- 조상숭배사상과 관련되어 있다.
-> 추원보본(조상숭배 - 혈연, 지연), 덕담을 많이함
-> 혈연이나 지연의식을 강조함
- 자연환경에 대한 적응전략의 일부이다.(모기퇴송-모깃불 피운 재를 논에 뿌림)
퀴즈
한국세시풍속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조상숭배사상과 관련이 있다.
2. 자연환경에 대한 적응전략의 전부이다.
3. 기복행위가 동원된다.
4. 세시풍속의 의미
- 한국의 세시풍속은 우주 리듬을 음양주기로 표현한 것이다.(음력 11월~2월 사이 많음)
- 자연의 주기적 리듬을 인식구조적 차원으로 전환된 의례가 세시풍속이다.
- 달의 차고 이지러지는 모습에 따라서 세상만물의 변화와 관련을 짓고 이 변화의 리듬에 순응하기 위한 의례이다.
- 우리 생활에 매년 주기적으로 일정한 시기마다 반복되는 의례.
- 한 사회의 순환적인 시간관을 표현한 생활양식이 세시풍속이다.
- 세시풍속을 다른 말로 時令(시령), 月令(월령)이라고 하기도 한다. (령 -> 질서, 규범)
ex) 농가월령가(신이 인간에게 부가하는 명령을 해야 한다.)
- 사회집단별로 가진 시간이 경제적 효율성에 따라 바뀌고 있기 때문에 세시풍속도 그에 따라 바뀌게 됨
5. 세시풍속의 분류 축원세시
- 1월, 2월은 농한기이기 때문에 복을 빈다.
예로 2월 영동맞이가 있다. 영동맞이는 일종의 풍신제이다. 집수리 등을 해도 별 문제가 없다. 방향은 생산과 사람의 장기와 관련되어 있고 곡식, 동물들과 관련되어 있다. 무방 수날은 사방의 신들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날이다.
- 특징
-> 유감주술적(Sympathetic Magic)풍요로운 수확을 상징한다.(동물의 생명력을 인간이 받아 장수나 풍요를 얻을 수 있다는 사고)
-> 동물을 가장한(생명력) 의례가 수행된다. ex) 거북놀이(장수), 탈놀이(나쁜신을 물리침)
-> 일년의 풍요를 점치는 점세적(점을 쳐 한해의 풍요를 빔) 행위가 수행된다.
ex) 횃불놀이, 쥐불놀이
5. 세시풍속의 분류 생장세시
- 3월은 농사를 짓기 위한 작업을 준비한다.
- 농사철에는 의례들이 크게 행해지지 못한다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현대한국의 민속 기말 정리자료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6단원 한국 현대문학의 이해 예상문제
  •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6단원 한국 현대문학의 이해 예상문제 6 한국 현대 문학의 이해 1. 작품과 사회와의 관계 (1) 문학 작품은 그 시대 사람들의 삶과 이상을 반영한다. (2) 역사적 사건들은 직․간접으로 문학 작품에 영향을 끼친다. 2. 한국 현대 문학의 흐름 (1) 근대 문학 : 고전 문학의 전통 계승 + 서구 문명의 유입 + 국권 상실의 아픔 → 창가와 신체시, 신소설 탄생 (2) 1920년대 : 식민지 현실, 계급 의식 다룸 (3) 1930년대 : 순수 문학, 토속 세계, 내면 세계를 다룸 (4)광복 이후 : 분단과 전
  • 한국민속촌
  • 한국민속촌 현대는 문화개발의 시대이다. 또 무한하고 무차별적인 문화전쟁의 시기이다. 너무도 급변하는 사회현상들은 새로운 가치추구에 대한 현대인의 이동성을 더욱 더 강화시키고 있기에 전통적인 문화나 공동체가 붕괴되고, 생활공간이 비약적으로 확대되는 현상은 인간의 가치관을 변화시켰고 온 세계의 자유화와 개방화를 활발하게 전개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가 금년부터 도전해야 할 새로운 프런티어 중의 하나가 바로 문화상품 전장(戰場)이다. 세계화, 국제화 하지만 이 문화분야의 상품경쟁과 판촉경쟁이야말로 21세기 국가와 국민의 국제경쟁의 핵심 중의 핵심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 한국의_민속_떡_그리고_인간
  • 한국의_민속_떡_그리고_인간 1. 서론 1.1. 떡의 역사 1.1.1. 삼국시대 이전 우리 민족은 언제부터 떡을 먹기 시작했을까? 음식을 연구해온 대부분의 학자들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떡의 주재료인 곡물(피, 기장, 조, 수수, 콩, 쌀 등)이 생산 가능했고, 떡을 만드는데 필요한 갈판과 갈돌, 시루가 출토되는 것으로 미루어, 각종 곡물들을 갈돌, 돌확 등에 갈아서 시루에 찐, 시루떡을 만들어 먹었으리라고 짐작한다. 1.1.2.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고구려 안악 3호분 벽화>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로 오면서, 쌀을 비롯
  • 2011년 1학기 한국현대문학의 이해와 감상 기말시험 핵심체크
  • 2011년 1학기 한국현대문학의 이해와 감상 기말시험 핵심체크 제1부 한국 현대시 제5장 이용악(李庸岳)·백석(白石) 편 제6장 이상(李箱)·김기림(金起林) 편 제7장 김광균(金光均)·서정주(徐廷柱) 편 제8장 유치환(柳致環)·이육사(李陸史) 편 제9장 박두진(朴斗鎭)·조지훈(趙芝薰) 편 제10장 박목월(朴木月)·윤동주(尹東柱) 편 제2부 한국 현대소설 제5장 최학송(崔鶴松) 편 제6장 조명희(趙明熙) 편 제7장 강경애(姜敬愛) 편 제8장 채만식(蔡萬植) 편 제9장 김유정(金裕貞) 편 제10장 박영준(朴榮濬) 편 제11장 황순원(黃順元) 편 제12장 김성한(金聲翰)
  • 2010년 1학기 한국현대문학의 이해와 감상 기말시험 핵심체크
  • 2010년 1학기 한국현대문학의 이해와 감상 기말시험 핵심체크 제1부 한국 현대시 제5장 이용악(李庸岳)·백석(白石) 편 제6장 이상(李箱)·김기림(金起林) 편 제7장 김광균(金光均)·서정주(徐廷柱) 편 제8장 유치환(柳致環)·이육사(李陸史) 편 제9장 박두진(朴斗鎭)·조지훈(趙芝薰) 편 제10장 박목월(朴木月)·윤동주(尹東柱) 편 제2부 한국 현대소설 제5장 최학송(崔鶴松) 편 제6장 조명희(趙明熙) 편 제7장 강경애(姜敬愛) 편 제8장 채만식(蔡萬植) 편 제9장 김유정(金裕貞) 편 제10장 박영준(朴榮濬) 편 제11장 황순원(黃順元) 편 제12장 김성한(金聲翰)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