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4개)
해당 자료는 4페이지 중 1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4

데일리(4개)

자료번호 p1380307
수정일 2016.05.10 등록일 2016.05.08
페이지수 4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sm****** 가격 6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데일리(4개)

목차

이론
1. 쇼크(Shock)
2. 파종성 혈관 내 응고장애(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3. 양수색전증(Amniotic fluid embolism)
4. 자궁파열(Uterine rupture)
5. 자궁내번증(Uterine inversion)


이론
* 자궁경관염(Cervicitis)
* 자궁내막염(Endometritis)

본문내용

데일리(4개)

이론

1. 쇼크(Shock)
- 저혈량성쇼크 : 출혈→자궁외임신,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자궁파열, 열상
- 패혈성쇼크 : 감염성질환→패혈성유산, 융모양막염, 신우신염 등
1) 산부측 영향
- 생존에 직접적으로 영향
- 빈맥, 저혈압, 호흡증가, 저체온증, 창백, 청색증
2) 태아측 영향
- 대사성산독증, 서맥, 혈관경련, 뇌손상, 태아 사망
→ 수혈, 수액요법, 산소요법, 조직관류 증진, 원인 문제 치료, 태아상태 사정, 정서적 지지
2. 파종성 혈관 내 응고장애(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1) 정의
응고요소 소모로 인한 혈액응고 장애로 나타나는 출혈상태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데일리(4개)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아동의 쇼크(shock) 정의, 병태생리, 진단, 치료 및 간호에 대해서
  • 아동의 쇼크(shock) 정의, 병태생리, 진단, 치료 및 간호에 대해서 2.쇼크의 병태생리 -산소와 대사성 산물을 신체조직에 운반할 수 있지만 쇼크단계에서는 이런 기전이 변화되고 무기력해진다. 이용 가능한 혈액을 뇌와 심장으로 보내기 위해 피부, 신장, 장기의 혈류는 감소하고 모세혈관의 관류저하로 피부는 차고 끈적끈적해지고 사구체여과율과 소변 배설량은 현저하게 감소한다. -관류장애로 조직세포에서 산소가 고갈되고 혐기대사가 발생하고 유산산증을 초래해 폐에 추가부담으로 이산화탄소가 쌓이게 되고 과다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호흡수를 증가시켜 대사성 산증에 보상하
  • 쇼크(Shock)
  • 쇼크(Shock) 1.쇼크의 정의 쇼크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순환계에 장애가 일어남으로써 불충분한 조직 관류에 의해 야기되는 임상 증후군이다. 즉, 조직세포로의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과 조직에서의 대사사물의 제거의 장애가 발생하게 되는 상황으로써 원인에 관계없이 저관류에 의한 산소와 기질의 전달과 이들의 요구량 사이의 불균형으로 세포의 기능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산소와 기질의 불충분한 전달에 기인하는 세포 손상은 또한 미소혈관계 내에서의 기능적 그리고 구조적 변화를 통해 관류를 더욱 저하시키는 염증 매개물의 생산과 방출은 유도한다. 이는 초기에는 가
  • 쇼크 shock 정리 [간호학]
  • 쇼크 shock 정리 [간호학] 정의 : 혈액량이 급격하고 심하게 감소됨-> 생명유지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할 수 없는 심각한 병태상태 초래   -조직 관류의 전반적인 감소로 인한 세포 내 저산소증   -장기가 필요로 하는 만큼의 혈액 전달 불가능   -대사노폐물 축적되어 세포파괴   -조직과 신체파괴 원인 : 심한 출혈이나 외상, 화상, 심근경색증, 폐 색전증, 난치성 세균성 패혈증.. 증상 : 무욕, 무관심 상태, 빈맥, 혈압저하, 피부창백, 체온저하, 식은땀…  ≪ … 중 략 … ≫ 병태생리 1)세포손상
  • 병리학 - 쇼크(shock, Shock Mechanism, Hypovolemic Shock, Cardiogenic Shock, Distributive Shock , Anaphylactic Shock, Septic Shock, Neurogenic Shock )
  • 병리학 - 쇼크(shock, Shock Mechanism, Hypovolemic Shock, Cardiogenic Shock, Distributive Shock , Anaphylactic Shock, Septic Shock, Neurogenic Shock ) Shock Mechanism 대부분 심인성 쇼크의 원인! 발현 후 24시간이내 심인성쇼크 직후 10~15% 환자들이 쇼크가 발생 (사망률 80%) – 가장 치명적,위험 심근 수축력 저하 → 심박출량 감소 좌심실 근육의 25%를 상실 →“heart failure” 발생 40% 이
  • 심인성 쇼크(cardiogenic shock)
  • 심인성 쇼크(cardiogenic shock) 1. 쇼크의 정의 조직과 기관의 관류(perfusion=혈액순환)저하로 인하여 세포내 저산소증(cellular hypoxia = 산소결핍)이 되는 상태. (-> 세포대사과정이 방해받음 ->다양한 복합적인 상태를 초래함). *적절한 혈액순환을 유지하기 위한 3요소 ①적절한 혈액량 ② 적절히 혈액을 박출할 수 있는 심장의 힘 ③혈관의 적절한 긴장도 2. 쇼크의 원인별 유형 1)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a shock) :혈관내 혈액량이 15-25% 감소하면 발생한다 2) 심인성 쇼크(ca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