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테로토피아로 분석한 현대 도시의 프로그램 관계성에 대한 연구
해당 자료는 53페이지 중 10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53

헤테로토피아로 분석한 현대 도시의 프로그램 관계성에 대한 연구

자료번호 p792953
수정일 2014.11.10 등록일 2011.11.25
페이지수 53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yo****** 가격 3,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헤테로토피아로 분석한 현대 도시의 프로그램 관계성에 대한 연구를 주제로한 졸업 논문

논문 바탕으로 한 치유환경공모전 우수상(2등상) 수상

목차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2. 현대 도시 건축 공간의 특징과 프로그램

2.1 다중심성 3
2.2 이질성의 혼합 3
2.3 연속성 4
2.4 현대 건축의 프로그램 특성 4
2.4.1 프로그램의 등장 6
2.4.2 근대건축의 프로그램과 기능 5
2.4.3 포스트모던(Post-Modern) 프로그램의 재해석 5
2.4.4 현대 건축의 프로그램 복합화 5
2.4.5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에서의 불확정성 6

3.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의 개념

3.1 푸코(Michel Foucault)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 8
3.2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에 대한 현대적 해석 9
3.3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가 될 수 있는 현대적 공간 9
3.4 유토피아(Utopia)와 디스토피아(Dystopia) 10

4. 근대에서 현대로 :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와 디스토피아(Dystopia)

4.1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 요소들 13
4.2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와 디스토피아(Dystopia) 14

5.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를 통한 도시 읽기

5.1 헤테로토피아와 도시 16
5.2 모더니즘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판 16
5.3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의 도시 계획 17
5.3.1 맥락주의(Contectualism) 17
5.3.2 절충주의(Eclecticism) 17
5.3.3 도시설계(Urban Design) 18
5.4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를 통한 도시 읽기 19

6. 사례분석

6.1 UN studio - Het Valkhof Museum : 불확정적 동선 20
6.2 Bernard Tschumi - Parc de la Villette : 불확정적 프로그램 20
6.3 Rem Koolhaas - Casa en Burdeos : 가변적 특성 22
6.4 Massimilano - Agenzia Spaziale Haliana : 비유클리드적 형태 23
6.5 Jean Nouvel - Institut여 monde arabe : 표피 비물성 23

7. 소 결 24

8. 디자인 과정 및 실험

8.1 낙원상가와 주변 지역에 대한 고찰 25
8.2 사이트 분석(Site Analysis) 25
8.2.1 전체 지역 분석 25
8.2.2 상세 지역 분석 - 탑골공원 및 공원 주변 27
8.2.3 상세 지역 분석 - 낙원상가 옆 상권 및 수표다리길 상업지구 27
8.2.4 상세 지역 분석 - 인사동길 및 주변 지역 28
8.2.5 상세 지역 분석 - 낙원상가 지상층 지역 29
8.3 Site Reading 29

9. 결과물 도출 - 관계 맺기

9.1 Proposal - 주변 지역과의 도시적 관계성 회복 31
9.2 Concept - 흐름의 재생을 통한 공간 생성 32
9.2.1 흐름의 수용 - Nature & Urban Factors 33
9.2.2 Healing Hill for Mental - Old people need green contents 33
9.2.3 Glass & Steel Box for Culture - Urban Contents 34
9.3 Program - interchange 35
9.3.1 Program Diagram 36
9.4 Network - Human & Program 38
9.5 디자인 결과물 40

10. 결론 51

본문내용

헤테로토피아로 분석한 현대 도시의 프로그램 관계성에 대한 연구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빠른 삶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도시중심의 사회가 되어가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에 의한...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헤테로토피아로 분석한 현대 도시의 프로그램 관계성에 대한 연구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졸업논문]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IT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
  • [졸업논문]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IT산업 클러스터 발전전략 오늘날 급격히 진전되고 있는 경제의 글로벌화와 지식경제시대의 도래에 따라 선진국을 중심으로 각국 정부들은 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와 지역발전을 위해 산업클러스터 형성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미 미국은 1950년대 들어 캘리포니아 산호세 주변의 10여개 도시에 실리콘밸리를 형성하였으며, 이는 산업클러스터의 대표적 성공사례이다. 2001년 현재 실리콘밸리에는 컴퓨터, 통신, 인터넷, 바이오 등 하이테크기업 9천여개가 입주해 있으며, 실리콘밸리의 지역총생산(GRP)은 2,050억달러로 한국 국내총생산(
  • 개인정보보호 졸업논문
  • 개인정보보호 졸업논문 Ⅰ. 序 論 1 . 論議範圍와 硏究方法 산업시대를 지나 정보화시대가 되면서 오늘날 세계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통신네트워크의 혁명적 발전에 의해서 대량의 정보가 실시간 쌍방향으로 무한대의 범위를 가지고 전달됨으로써 의사소통방식의 일대 변혁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분에서의 혁명적인 변화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생활에 유익한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가상교육과, 원격진료 그리고 온라인에 의한 전자소비자거래 등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으나, 반대로 이러한 광범위하고 통제하기 곤란한 가상공간의 발생으
  • 졸업논문 잘쓰는 법
  • 졸업논문 잘쓰는 법 졸업논문이란 평균 100 페이지에서 400페이지 사이의 다양한 길이로 타자를 친 연구 작업 물이며 이탈리아의 대학에서의 진정한 의미에서의 논문은 일종의 졸업 이후의 학위인 박사학위를 위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단지 학문적인 연구자로서 자신을 완성하고 전문화하려는 사람들이 지원한다. 논문이란 것이 왜 그토록 많은 시간이 걸리는가 하는 것은 바로 독창적인 연구 작업이기 때문이다. 그런 논문에서는 물론 동일한 테마에 대해 다른 학자들이 말했던 것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다른 학자들이 말하지 않은 무엇인가를 <발견>해야 한다. 거창한
  • 졸업논문을 쉽게 쓰는 법
  • 졸업논문을 쉽게 쓰는 법 <제목을 정하는 팁> 논문의 제목을 정할 때는 되도록이면 구체적으로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노동행정의 문제점과 대안"이라는 거창한 제목 보다는 "2005년 법규의 변화로 본 한국 노동시장의 유연성"이라는 제목이 논문을 쓰기에는 더욱 적합한 제목인 것 같습니다. 앞의 제목으로 논문을 쓰기에는 내용이 방대할 뿐 아니라, 논문의 내용에 있어서도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여러 가지 사실관계만 나열할 확률이 높거든요. 나중의 제목은 시기(2005년)와 내용 (법규의 변화)를 명시했기 때문에 연구의 범위도 분명하고 노동시장이 유연해 졌는지 아닌지의 결론
  • 졸업논문 작성방법
  • 졸업논문 작성방법 우리들 대부분은 논문 또는 과제물하면 우선 어떻게 하면 화려하게 눈에 띄는 내용을 기술할까 고민을 하게 된다. 그러나 논문이나 과제물은 그 형식도 중요하지만 내용의 서술이 합리적으로, 타당성이 있게 기술되었나 하는 점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물론 일부 학과에서는 주석이나 참고문헌 등의 기재에 더 중점을 두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내용을 등한시하는 것은 아니다.) 논문 작성에 초점을 맞추고 기술함을 이해하시기 바랍니다.(과제물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지만.....) 1. 학보에 기재된 논문 테마 중에서 자신의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하여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