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위와 지방 쓰는법jo
해당 자료는 15페이지 중 5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5
  • 프리미엄

신위와 지방 쓰는법jo

자료번호 r575372
수정일 2012.03.28 등록일 2009.01.07
페이지수 15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jo***** 가격 2,5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설날차례 지내는 법과 풍습-fp
  • 신위(神位)와 축문, 지방(紙榜)쓰는 법 1) 신위(神位) 2) 축문 쓰는 법 1)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2)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3) 關稱某 敢昭告于 4) 顯某親某官府君 5)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6) 關稱某 敢昭告于
  • 제사에 관한 예절 조사
  • 지방(天圓地方:둥근 하늘과 평평한 땅)을 상징한 것이라고 한다. 한 장의 지방에 남, 여 조상 두 분의 신위를 쓸 때는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은 남자조상을 쓰고, 오른쪽은 여자조상을 쓰며 세로쓰기를 한다. 만약 여자조상이 두 분 이상이면 남
  • [사범/법학] 미래의 평생교육체제
  • 쓰는 것에서부터 평생학습의 전통을 찾아볼 수 있는 것이다. 학계차원에서 한국은 1973년 8월에 평생교육의 이념과 전략을 주제로 한 세미나가 개최되면서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었고, 정부차원에서 1980년, 헌법에 `국가는 평생교육을

소개글

신위(神位)와 축문, 지방(紙榜)쓰는 법이
상세하게 잘언급되어 있습니다
잘참고하시어 조상님게 제사잘 지내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신위(神位)

2. 축문 쓰는 법
1)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2)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3) 關稱某 敢昭告于
4) 顯某親某官府君
5)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6) 關稱某 敢昭告于
7) 顯某親某官府君

3. 지방(紙榜)
1) 지방 쓰는 법
2) 지방의 내용과 작성법
(1) 남자조상
(2) 여자조상
① 고조부모(예) : 고조모가 청주 한씨(淸州 韓氏)인 경우
② 증조부모(예) : 증조모가 안동 김씨(安東 金氏)인 경우
③ 조부모(예) : 조모가 광산 김씨(光山 金氏)인 경우
④ 부모(예) : 모가 전주 이씨(全州 李氏)인 경우
⑤ 백부모(예) : 백모가 경주 김씨(慶州 金氏)인 경우
⑥ 숙부모(예) : 숙모가 김해 김씨(金海 金氏)인 경우
⑦ 부부(예) : 부인이 전주 이씨(부인李氏)인 경우
⑧ 형, 형수(예) : 형수가 밀양 박씨(密陽 朴氏)인 경우
⑨ 동생(예) : 동생이름이 길동(吉童)일 경우

본문내용

신위와 지방 쓰는법jo
1. 신위(神位)
신위(神位)라 함은 고인의 영혼 즉 신을 모시는 곳을 말하는데 종래에는 지방으로 모셨으나 지금은 많은 가정에서 영정(사진 또는 초상화)을 모시고 지내고 있다. 기제사의 본 뜻이 고인의 별세한 날을 추모하는 의식이라고 하였으니 그 추모하는 정을 제대로 고취시키려면 고인의 생전 모습이 그대로 나타난 사진을 모시는 것이 예법(禮法)에 없다고 하여 탓할 것은 아니다. 그러니 별세하신지 오래되어 사진이 없을 경우에는 지방을 쓰겠지만 생전에 사진 한 장씩은 꼭 찍어 두었다가 별세한 뒤에 상례의 영좌나 제사의 신위로 모시도록 하였으면 한다.
옛날에는 중국에서 들어온 철저한 유교 의식에 따라서 위호(衛護)라고 하여 사대부가(士大夫家)에서는 집집마다 사당(祠堂)을 짓고 역대 조상들의 신주를 모시고 수많은 제사를 지내야 하였으나 지금은 세상살이가 많이 달라졌으니 세속을 따르는 것도 좋겠다. 종이에 쓴 지방보다는 사진이 훨씬 더 실감나고 그리움도 솟지 않겠는가.
2. 축문 쓰는 법
축문은 신명(神明) 앞에 고하는 글로, 제위(祭位)께 간소한 제수이지만 흠향하시라는 뜻을 고하는 글입니다. 축문은 그 내용을 잘 알 수 없는 한문보다는 한글로 알기 쉽게 쓰는 것도 좋습니다. 축문의 크기는 폭 25 cm, 길이는 36 cm 정도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1)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1) 維歲次干支
간지(干支)는 당년의 태세(太歲)를 말하는 것입니다. 기묘년이면 당년의 태세로서 ‘己卯’를 쓰게 됩니다. 그러므로 ‘維歲次己卯’라고 쓰면 되는 것입니다.
그 뜻은 ‘이어 오는 해의 차례가 기묘년으로 바뀌었다’라고 하는 것으로서, 이 문구는 어떠한 축문이든 그 당년의 태세만 바꿔서 옮겨 쓰면 됩니다.
(2) 幾月干支朔
음력으로 제사를 맞은 달과 그 달의 초하루 일진(日辰)을 쓰게 됩니다. 예를 들어, 그 달이 3월이고, 그 달의 초하루 일진이 병인(丙寅)일 경우 ‘三月丙寅朔’이라고 쓰면 됩니다. 축문은 신명(神明) 앞에 고하는 글로, 제위(祭位)께 간소한 제수이지만 흠향하시라는 뜻을 고하는 글입니다. 축문은 그 내용을 잘 알 수 없는 한문보다는 한글로 알기 쉽게 쓰는 것도 좋습니다. 축문의 크기는 폭 25cm, 길이는 36cm 정도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1) 維歲次干支
간지(干支)는 당년의 태세(太歲)를 말하는 것입니다. 기묘년이면 당년의 태세로서 ‘己卯’를 쓰게 됩니다. 그러므로 ‘維歲次己卯’라고 쓰면 되는 것입니다.
그 뜻은 ‘이어 오는 해의 차례가 기묘년으로 바뀌었다’라고 하는 것으로서, 이 문구는 어떠한 축문이든 그 당년의 태세만 바꿔서 옮겨 쓰면 됩니다.yes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신위와 지방 쓰는법jo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법대로-지방자치법
  • 제1조【목적】이 법은 지방자치단체의 종류와 그 조직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정하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와의 기본적 관계를 정함으로써 지방자치행정의 민주성과능률성을 도모하며 지방의 균형적 발전과 대한민국의 민주적 발전을 기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문개정 89.12.30> 제2조【지방자치단체의 종류】①지방자치단체는 대별하여 다음의 2종으로 한다. <개정 94.12.20> 1. 특별시와 광역시 및 도 2. 시와 군 및 구 ②지방자치단체인 구 (이하 `자치구`라 한다)는 특별시와 직할시의 관할 구역안의구에 한하며, 자치구의 자치권의 범위는 법령이 정하는 바에
  • 법대로-지방자치법시행령
  • 제1조【목적】이 영은 지방자치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관계 지방의회】지방자치법 (이하 `법`이라 한다) 제4조제2항에서 `관계 지방자치단체의 의회`라 함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의회와 그 상급지방자치단체의 의회를 말한다. 제3조【관할 구역의 변경등으로 인한 지방자치단체등의 사무의 인계】법 제4조제1항.제3항 및 제4항의 규정에 의한 지방자치단체와 자치구가 아닌 구.읍.면.동.리의 구역변경 및 그 폐치.분합에 따른 사무의 인계에 관하여는 제30조 내지 제36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제4조【폐치.분합으로
  • 법대로 - 지방세법시행령
  • 제1조【정의등】①이 영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지방세법(이하 `법`이라 한다)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②이 영중 도에 관한 규정은 특별시와 광역시에, 시.군에 관한 규정은 구(특별시와 광역시외의 시의 구를 포함한다)에 각각 준용한다. 이 경우 `도지사`는 `특별시장` 또는 `광역시장`으로, `시장.군수`는 `구청장`으로 본다. <개정 95.8.21,95.12.30> <전문개정 88.5.7 대령12447> 제1조의2【지방세를 감면할 수 있는 특수한 사유등】①법 제9조의2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특수한 사유`라 함은 화재.전화 기타 재해를 말한다. ②법 제9조
  • 지방자치법의 개정
  • 지방자치법이 공포된 지 약 4개월만인 1949년 12월 15일 법률 제 73호로서 제 1차 개정을 단행하여 부칙 제 4조와 제 5조에 경과규정을 신설하였다. 즉 지방의회가 구성될 때까지 의회의 의결을 요하는 사항은 도와 특별시는 내무부장관, 시·읍·면은 도지사의 승인을 얻도록 하는 규정과 시·읍·면장의 선임에 있어서는 시장은 대통령이 , 읍·면장은 도지사가 임명하고 동·리장은 임명 또는 선거하도록 하는 규정이었다. 1950년 6·25전쟁으로 인하여 지방자치의 실시가 연기되어 오다가 최고통치자의 정치적 의도에 의해 1952년 제1차 지방선거가 치루어졌다. . 당시
  • 지방자치법의 문제점과 개정방안
  • 지방자치법의 문제점과 개정방안 발제취지 우여곡절 끝에 시행된 지방자치도 어느덧 10년의 세월과 함께 그 제도적 착근이 나름대로 진행되고 있지만, `법에 의한 지방자치ㆍ지역특성을 발현하는 지방자치ㆍ지구촌과 하나되는 지방자치`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법적 측면에서는 수차의 개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개선해야 할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간 지방자치제도의 발전을 위한 비법학분야에서의 크고 작은 논의는 제법 활발한 편이었으나, 면밀한 법적 검토없는 정책적ㆍ제도적 논의만으로는 상충하는 의견조정의 애로와 입법과정에서의 변질 등 장애요인을 극복하는데 한계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