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AD (더로드) 독후감 레포트 (영어영문학과 전공지도)
본 자료는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 품질인증

THE ROAD (더로드) 독후감 레포트 (영어영문학과 전공지도)

자료번호 r679342
수정일 2014.11.10 등록일 2010.08.19
페이지수 2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p5*** 가격 5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영어영문학 전공지도 독후감과제로 제출한 "The Road"입니다.
일반 감상문과는 다르게 인물의 상징성에 대해 정리하고 자신의 감상을 적었습니다.

목차

서론 1. 시작하는 말
2. 소설의 줄거리
3. 소설의 특징

본론 "소년"이 가지는 상징성 5가지

결론 1. 본론정리
2. 소설 속 세계와 현실 세계의 비교
3. 가장인상깊게 읽은 부분
4. 맺는 말

본문내용

THE ROAD (더로드) 독후감 레포트 (영어영문학과 전공지도)
- 서론. 소설의 특징中
소설에서 표현되는 세계는 절망 그 자체이다. 작가는 오감을 통해 생생하게 그것을 표현하는데, 암흑과 잿빛세상(시각), 혹독한 추위(촉각), 역한 체취와 시체 썩는 냄새(후각), 침입자의 발걸음소리와 물소리(청각), 끊임없는 배고픔(미각)을 통해 마치 우리가 그 세상의 한가운데에 서있는 것처럼 만들어 우리를 절박하게 한다.
- 본론. 소년 이 가지는 상징성 5가지中
둘째는 인류의 대를 이을 새로운 세대이다. 소년이 태어난 것은 세상이 이미 잿빛세계로 돌입했을 때의 일이다. 남자는 어릴 때 자신이 경험한 색깔이 넘치는 세계를 아들에게 보여주지 못하는 것에 대해 안타까워하고 아들에게 끊임없이 이야기를 해준다. 즉, 소년은 자신이 직접 겪어보지 못한 많은 일들을 아버지의 이야기를 통해 전수 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남자는 소설의 후반부에 죽지만 그 뒤 소년이 막막한 미래에 홀로 남겨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일행과 합류하면서 소년이 계속하여 여행을 하여 성장해 나갈 것을 암시한다.
넷째는 아들로서의 부자지간의 관계이다.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혈연 관계는 혹독한 세계 속에서도 결코 끊이지 않는 끈끈한 유대감을 지닌다. 가족 간의 신뢰는 우리에게도 익숙한 것이므로 아버지의 아들을 향한 아낌없는 사랑, 자기희생은 우리를 납득시키고 감동시킨다.
- 결론. 소설 속 세계와 현실 세계의 비교
약육강식에 세계는 오늘날에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소설의 인물들이 생리적인 욕구를 위해 남을 해치는 반면, 우리는 풍요로움 속에 또 부를 쌓기 위해 아무 거리낌 없이 남을 짓밟지 않는가? 사람이 사람을 두려워하는 세상, 자신이 살기 위해서는 남을 희생시킬 수밖에 없다는 것을 당연한 이치로 받아들이는 우리의 세상은 소설에서의 잿빛세계와 별반 차이가 없다.

참고문헌

없음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THE ROAD (더로드) 독후감 레포트 (영어영문학과 전공지도)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Song of the Open Road
  • Song of the Open Road 1.원문 Song of the Open Road from "Song of the Open Road" Afoot and light-hearted I take to the open road, Healthy, free, the world before me, The long brown path before me leading wherever I choose. Henceforth I ask not good-fortune, I myself am good
  • [영미문학페이퍼] The Road to Mecca를 통해 살펴보는 '삶의 의미'
  • [영미문학페이퍼] The Road to Mecca를 통해 살펴보는 '삶의 의미' 극작가, 배우, 연출가로 1인 3역을 하는 Athol Fugard는 1932년 남아프리카 연방 미델브흐르에서 태어났다. 백인으로서 흑백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는 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엄격한 검열 제도에도 굴하지 않고, 포트엘리자베스에서 극단을 이끌면서 대담하게 인종차별을 비난하는 극을 공연했다. The Road to Mecca에서 그는 백인 남성임에도 불구하고 철저하게 여성의 시각에서 여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남성 중심 사회 속에서 여성이 겪는 어려움이 무엇이며, 그 고통을 어
  • 로드 투 퍼디션 Road to Perdition
  • Road to Perdition 이 영화는 전체적으로 어두워 범죄와 마약의 도시 시카고의 어두운 분위기를 잘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 감독인 샘 맨더스 분은 이런 어두운 분위기를 자아내기 위해서 배우들에게 가급적이면 햇빛을 보지 말도록 권하기 까지 했다고도 한다. 이러한 어두운 배경 설정은 도피처이자 종착지인 아담한 별장이 있는 조용한 호숫가의 눈부신 햇살을 보기까지 설리반 부자가 겪어온 일들을 마치 긴 터널 속에서 일어난 일들처럼 뒤로하고 그들이 맞게 된 따스한 햇살을 더욱 밝고 포근
  • [영시해석] The Road Not Taken -Robert Frost 로버트 프로스트
  • [영시해석] The Road Not Taken -Robert Frost 로버트 프로스트 1연에서 화자는 어느 가을날 숲 속의 두 갈래 길에서 망설이다가, 두 길을 다 가보는 나그네가 될 수 없음에 유감을 느끼며 한 길을 가능한 한 멀리까지 내다보며 갈등을 하고 있다. 여기서 road 는 단순한 길이 아닌 “Life"를 상징(symbol)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① Two roads 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선택해야하는 인생의 갈림길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또, ② yellow wood에서 이미지로서 낙엽이 져있는 가을임을 보여주고 있다. 2연에서는 처음에
  • [더 로드] - 독후감
  • [더 로드] - 독후감 2. 감상문 대재앙이 일어난 황폐한 지구에 살아남은 아버지와 아들의 여행! 미국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코맥 매카시의 장편소설『로드』. 대재앙 이후의 지구를 배경으로, 길을 떠나는 아버지와 아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문명이 파괴되고 거의 모든 생명이 멸종한 무채색의 땅. 작가는 지구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대신, 시적인 언어로 우리가 어렴풋이 상상할 수 있는 미래의 황폐함을 묘사하고 있다. 대재앙이 일어난 지구. 하늘을 떠도는 재에 가려 태양은 보이지 않고, 살아남은 사람들은 서로를 잡아 먹는다. 그런 황폐한
최근 본 자료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