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ume tectonics
해당 자료는 5페이지 중 1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5

plume tectonics

자료번호 r743197
수정일 2011.05.25 등록일 2011.05.25
페이지수 5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no******** 가격 3,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프리미엄 자료가 없습니다

소개글

plume tectonics 자료입니다.

목차

1. Plume tectonics(플룸구조론)의 등장배경
2. Plume tectonics란
3. Plume tectonics의 이론
A. 맨틀 플룸이 나타나는 과정
B. plume 운동
4, Plume tectonics의 발생원인
5. 상부-하부 맨틀 경계가 플룸의 기원
6. 과제후기

본문내용

plume tectonics
1. Plume tectonics(플룸구조론)의 등장배경

판구조론은 1912년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이 등장한 이후 1960년대 확립되었다. 필리핀 피나투보, 일본 운젠화산 폭발과 샌프란시스코 대지진 등과 같은 지진이나 화산 현상이 판구조론이라고 하는 통일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화산의 폭발이나 지진은 주로 판의 경계부에서 일어난다. 그러나 판구조론에도 한계가 있다. 지표의 지질 현상은 잘 설명하지만 지구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대해서는 아직도 분명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20세기 지진파를 이용한 지구물리학적 지진단층촬영법의 발달, 지하 심부의 초고압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실험 기술의 진보, 지구표층에 대해 축적된 지질학적 지식들은 그동안 이해하기 어려웠던 지구내부의 움직임을 예측해보고자 등장한 새로운 이론이다. 그 한 가지 예로 열점에 대한 연구를 들 수 있다. 지구표면에는 판구조 운동과 관련이 없어 보이는 지질현상도 있는데, 하와이 섬과 같이 판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산활동이 그것이다. 이러한 지역을 열점 이라고 한다. 열점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보다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짐에 따라 판의 속도보다는 작지만 열점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열점 화산활동은 판구조론에 대하여 큰 문제점을 던져주었다. 열점 화산활동의 근원지가 어디이며, 왜 맨틀 내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는 것이다.

≪ 지 도 ≫
[판의 경계와 열점의 분포]

2. Plume tectonics란

플룸구조론은 표층의 저온의 맨틀이 하강하는 것에 기인하는 cold plume과 내부의 고온의 맨틀의 상승에 기인하는 hot plume이 주체가 된다. 이것은 아시아 지역 아래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섭입에 기인한 대규모 체류슬랩이 낙하됨에 따라 하나의 거대한 차가운 플룸이 하강하고 있고, 반면에 역장용으로 발생하는 타히티형과 아프리카형의 뜨거운 플룸이 상승함으로써 맨틀 전방에 걸친 원통상의 대류운동이 지구조운동을 지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원통상의 대류운동에 의한 구조운동론을 플룸구조론이라고 한다.

≪ 그 림 ≫

[지구 내부의 플룸 모식도]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plume tectonics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지구과학] 판구조론과 플룸구조론
  • [지구과학] 판구조론과 플룸구조론 판 구조론 : 지표에서 지하 약 700km를 설명하는 이론      (지구표면은 여러 개의 굳은 판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판이 변형 내지는 서로 수평운동을 하고 있다는 생각에 바탕을 둔 이론. 판구조론에 의하면 판들이 상대적으로 움직이면서 각 판의 경계에서 지진, 화산활동과 같은 지각 변동이 일어나며, 판의 발산형 경계에서 판이 생성되고 수렴형 경계에서 판이 소멸된다.) 플룸 구조론 : 지구표층과 맨틀의 움직임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이론      (불균질한 온도분포(밀도분포)에 의해, 고온 맨틀이 상승(뜨거운 플룸)하
  • 판구조론 대륙이동설 맨틀대류설 해저확장설 plate plate tectonics
  • 판구조론 대륙이동설 맨틀대류설 해저확장설 plate plate tectonics - 본론 - Ⅰ 판구조론의 정립 1. 베게너와 대륙이동설 (1) 알프레드 베게너(Alfred Wegener) 1910년 베게너가 우연히 세계 지도를 보고 대서양의 양쪽 해안의 굴곡이 서로 일치하는 것을 알았을 때, 과거 하나였던 대륙들이 움직였을지 모른다는 대륙 표이(continental drift)의 가능성을 생각하였다. 이후 그는 수집한 증거들로부터 대륙이동을 확신하게 되며, 지구는 원래 '판게아(pangaea)라는 하나의 초대륙으로 뭉쳐 있었고, 이로부터 서서히 여러
  • 판구조론 (Plate Tectonics)
  • 판구조론 (Plate Tectonics) 1. 판구조론의 역사 -. 1620년 France Bacon : 대서양 양편의 해안선이 일치함을 지적 -. 1858년 Antonio Snider : 대륙이 표류하는 것을 모사한 지도를 발간 -. 19세기말 E. Suess : Gondwana 대륙의 존재를 주장 * Gondwana : 남반부에 존재하였던 초대륙 -. Alfred Wegener : Pangaea의 존재와 대륙의 표이설을 주장 * Pangaea : 2억년전에 존재하였던 하나
  • 플룸구조론
  • 플룸구조론 지진파 토모그래피에 의해 제안된 뜨거운 플룸은 핵과 맨틀 경계부에서 9개 플룸이, 약 400km 수준에서 6개의 플룸이 생성된다. 뜨거운 플룸의 발생은 차가운 플룸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잇는데, 차가운 플룸의 주 원인이 되는 붕락 슬랩이 핵과 맨틀 경계에 도달하면 핵은 차가운 플룸에 대해 민감한 열적 반응을 일으키게 되고, 경계면의 온도 구조가 교란되어 뜨거운 플룸의 생성을 유발 시킨다는 것이다. 이렇게 생성된 뜨거운 플룸들은 초 대륙들을 분열시키는 데 주된 작용을 했다고 한다. 2억 년 전 아프리카 슈퍼 플룸은 아프리카 대륙을 분열시켰고, 남태평양
  • 판구조론 (Plate Tectonics Theory)
  • 판구조론 (Plate Tectonics Theory) 판구조론 (Plate Tectonics Theory) 1. 판구조론? ━━━━━━━━────────  ≪ 그 림 ≫ - 지구의 표면을 이루고 있는 조각 - 맨틀 대류에 의해 이동 - 지구 표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판의 이동으로 설명하는 이론 - 맨틀 대류는 연약층에서 이루어 지는데 이 흐름에 의해 1년에 수cm씩 이동 할 수 있음 1-1. 판의 이동 ━━━━━━━━────────  ≪ 그 림 ≫ ≪ 그 림 ≫  ≪ 그 림 ≫ ≪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