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수문학] 지하수 오염에 대해서
해당 자료는 14페이지 중 4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4
  • 프리미엄

[수리수문학] 지하수 오염에 대해서

자료번호 s1102367
수정일 2014.11.10 등록일 2012.05.18
페이지수 14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le******* 가격 2,3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수리수문학] 지하수 오염에 대해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지하수의 정의

II. 본론
1. 우리나라 지하수 현황
2. 우리나라 지하수의 형성
3. 지하수 오염의 원인
4. 지하수오염의 특징
5. 지하수오염조사의 기본조건
6. 지하수오염 사례 분석
7. 복원기술
8. 지하수 오염에 대한 대책

III. 결론

본문내용

[수리수문학] 지하수 오염에 대해서
I. 서론

1. 지하수의 정의

지하수란 지하수법 제2조에서 지층이나 암석사이의 빈틈을 채우고 있거나 흐르는 물로 정의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하수 개발 가능량은 132.6억㎥/년(충주댐 저수 용량의 약 5배) 으로 추정된다.
지구상의 일반적인 수자원의 형태와 그 순환과정을 살펴보면 대기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강수 또는 눈, 얼음으로 지표상에 떨어져 지표면을 따라 흘러 호수나 강, 바다 등으로 빠져나가며, 그 중 일부는 지하로 침투하여 지층속의 틈을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호수, 강, 바다에서의 증발작용, 식물에서의 발산작용 등으로 지상에 있던 물의 일부가 다시 구름으로 변하여 강수를 만들게 된다.
이것을 수문순환(hydrolgic cycle)이라 하며, 수문순환 과정에서 형성된 물을 대기수(meteroic water)라고 한다.

위와같이 개발 가능성과 함께 수문순환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하수의 현황과 오염의 원인을 중점으로 특징과 사례를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II. 본론

1. 우리나라 지하수 현황

1) 수자원 현황
우리나라 연평균 강우량은 1,283mm이나 강우가 지역적, 계절적으로 편중되어 있는 한편, 하천의 유로연장이 짧고 경사가 급한 관계로 계절별 유량변화가 매우 심하여 효율적인 지표수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 … 중 략 … ≫




3. 지하수 오염의 원인

1) 도시의 원인
① 하수도 누수
하수구의 누수현상은 배관시설의 노후로 인한 파손, 식물뿌리의 침투, 상부 하중, 지진, 부실시공으로 인한 파손 등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지하수의 BOD를 높이고 질산염, 유기 화합물, 박테리아 등을 유입시킨다. 특히 공단에서는 비소(As), 카드늄(Cd), 크롬(Cr), 코발트(Co), 구리(Cu), 납(Pb), 망간(Mn), 수은(Hg) 등이 지하수에 유입되고 있다.

② 폐수
도시에서의 폐수는 가정이나 공장에서 유례하고 적절한 처리를 한 후 지표수로 방출된다. 도시의 폐수는 지하수를 박테리아, 바이러스, 유기 및 무기화학물질 등의 오염물질로 오염시킬 수 있다.

③ 고체쓰레기
고체상태의 쓰레기를 지표에 매립하여 처리하면 지하수를 심각하게 오염시킨다.

체쓰레기는 비 등의 수분과 반응하여 상당량의 오염물질을 방출하므로 쓰레시 매립지는 오염수(침출수)를 통제할 수 있도록 매립지 바닥을 불투수성의 점토로 덮고 매립지 곳곳에 수로를 만들어 오염수를 한곳에 모아 재처리하면 지하수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 고체쓰레기는 지하수에 BOD, 경도 및 탁도의 증가, 중금속, 유해가스의 함양 등의 영향을 준다.
2) 산업의 원인
① 공업용수
공업용수는 주로 냉각, 위생시설, 생산 및 공정에 이용된다. 특히 냉각수는 염(salt)과 열을 갖고 있어 방출될 경우 지하수를 오염시킨다.
② 탱크와 배관설비에서의 누출
지하에 여러가지 화학물질의 수송과 저장을 위한 시설물에서 누출된 물질들이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석유의 누출이 가정이나 주유소의 기름탱크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고 지하로 이동하여 지하수면 상부에 기름층을 형성하여 지하수와 함께 수평적인 이동을 한다.
③ 광산활동
광산은 채광과 파쇄과정에서 지하수 오염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석탄광, 인광, 우라륨광 등이 주 오염원이고, 기타 광물광들도 중요한 오염원이다. 광산에서 지하수위를 낮추기 위해 많은 물을 뽑아내는데, 배출수에는 많은 광물질이 용해되어 많은 철분, 알루미늄과 황산이온을 포함하여 보통 산성을 나타내고 있다. 지하수오염은 개발중인 광산에서 뿐만아니라 폐광의 찌꺼기와 갱에 차있는 물에 의해서도 나타난다.
3) 농사의 원인
① 관계복귀수
관계용수의 1/2 내지 2/3가 증발산작용에 의해 손실되고 나머지는 관계복귀수로서 지표수나 지하수로 바뀌어 진다. 관계복귀수의 염도는 비료나 토양개량용 화학약품에 의해 관계이잔의 물에 비해 3~10배 정도 증가된다.
② 동물쓰레기
동물사육이 제한된 지역에서 이루어질 경우, 소고기나 우유의 생산을 위해 많은 양의 쓰레기가 지면에 쌓인다. 동물쓰레기들은 염, 유기 오염물질, 박테리아등을 토양과 지하수에 오염시키며 그 중 질산염이 가장 중요한 오염물질이다.
③ 살충제
농사지역의 주요 지하수 오염물질은 살충제이다. 살충제는 미량이라도 지하수의 식수화에 심각한 해를 미친다.
4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수리수문학] 지하수 오염에 대해서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지하수 오염의 실태와 해결방안(졸업논문)
  • 지하수 오염의 실태와 해결방안(졸업논문) 서 론 한국에서 기록상으로 볼 때 최초로 지하수자원 개발을 시도한 것은 1936년 중앙시험소가 공업용수의 확보를 위한 지점조사(地點調査)의 성격을 띠고 시추 및 착정(鑿井)을 한 것부터이다. 그 후 1940년에 5개년 계획으로 천수답(天水畓) 등의 수리불안전답에 대한 농업용수로서 지하수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노두조사(露頭調査)와 물리탐사를 실시한 바 있으나, 극히 개략적인 조사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또한 8 ·15광복 후인 1963년 USOM의 주관으로 공업용수 개발을 위해 지하수 분포상태를
  • 수리.수문학 요약정리
  • 수리.수문학 요약정리 1. 유체의 성질및 차원 * 점성계수 τ= 1 poise =1 g/cm.sec = 1 dyne.sec/cm2 * 동점성 계수 * 모세관 현상 : T(dyne/cm) - 완전유체(이상유체):비점성, 비압축성 - 실제유체 : 점성, 압축성 * 체적탄성계수(E) = 1 / 압축률(C) * 차원 방정식 밀도 : 점성계수 : 표면장력 : 2. 정수 역학 < 정수압의 성질 > - 수심에 비례한다. - 면에 수직으로 작용한다. - 한점에 작용하는 정수압은 방향에 관계없이 그 크기가 일정
  • 지하수 오염 - 폐공보존, 쓰레기 분리 수거와 음식물 쓰레기의 최소화, 액체 산업 폐기물의 관리, 삼림보호
  • 지하수 오염 - 폐공보존, 쓰레기 분리 수거와 음식물 쓰레기의 최소화, 액체 산업 폐기물의 관리, 삼림보호 강의 시간에 배운 지하수에 관심이 생겨서 강의 시간에 배운 것 외에 지하수에 대해 간단히 조사해보았고 지하수가 고갈되고 오염되는 이유를 알아보고 이의 해결 방안으로 논의되고 있는 대책을 알아보았다. 또 인터넷에서 적절한 관련 기사에 비추어 주관적인 생각을 적어보았다. 지하수의 `지표수에 대하여 지하에 있는 물.` 이라고 정의 되어있는데 지하에 있는 물을 모두 지하수라고 하지는 않는다. 암석 중에 있는 결정수나 마그마의 처녀수는 지하수와는 구분된다. 하천수에 의
  • 토목기사 필기 요점 - (수리수문학 -2)
  • 토목기사 필기 요점 - (수리수문학 -2)
  • 토목기사 필기 요점 (수리수문학 -3)
  • 토목기사 필기 요점 (수리수문학 -3)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