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관찰·분석을 통한 수업개선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해당 자료는 27페이지 중 9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27
  • 프리미엄

수업 관찰·분석을 통한 수업개선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자료번호 s1101956
수정일 2021.02.09 등록일 2012.10.23
페이지수 27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ki***** 가격 12,6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수업 관찰·분석을 통한 수업개선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1
 C. 기대효과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수업의 일반적인 특성의 분석을 위한 수업 분석 방법 …………… 3
 B. 문제해결 수업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 3
Ⅲ. 문제해결수업의 조직·교수 활동과 수학교실 문화적 측면 분석 … 5
 A. 문제해결수업 자료의 수집 ……………………………… 5
 B. 수업 분석의 틀 ……………………………… 5
 C. 수업의 조직과 교수 활동 분석 ……………………………… 5
 D. 수학의 수학교실 문화적 측면 분석 ……………………………… 6
Ⅳ. 실제 예시를 통한 구체적인 수업 개선방안 ……………………… 16
 A. 수업개선 노력의 결과와 그에 따른 효과 ……………………… 16
 B. 문제제기를 통한 학생들의 방법적 지식 향상 …………………… 18
 C. 문제해결 학습지를 이용한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향상 ……… 21
Ⅴ. 결론 및 제언 ……………………………… 23


참고문헌 ……………………………… 25

본문내용

수업 관찰·분석을 통한 수업개선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Ⅰ.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국제화, 정보화 사회에서 학교교육의 중점은 단순 기능인의 양성보다는 능동적으로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의 육성에 두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부분 수정 공시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은 수학과의 목표로 수학적 힘의 신장을 강조하면서 수학적 개념의 깊이 있는 이해와 활용, 합리적인 문제해결 능력과 태도와 수학적 지식과 사고 방법의 신장을 강조하고 있다. 그 가운데 교사의 수업은 핵심적인 위치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 할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교육의 질은 곧 수업의 질’이라는 인식이 최근 들어 더 강조되고 있으며 교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 가운데 수업 기술을 그 수위에 놓고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여러 노력 가운데 교사들이 하고 있는 수업에 대해 반성적 시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는 일은 보다 나은 수업으로 나아가는데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인식 아래 수업을 반성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과 수업의 전체적 구조나 흐름과 같은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게 해 주며 그 가운데서 일어나는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나 수학적 논의의 모습과 그 질을 좀 더 용이하게 파악하게 해주는 수학과 수업 분석의 틀을 이론적 탐구를 통해 모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분석틀에 따라 문제해결수업을 관찰·분석하여 문제해결 교수-학습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 중 략 … ≫




Ⅱ. 이론적 배경

A. 수업의 일반적인 특성의 분석을 위한 수업 분석 방법

수업을 분석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Brophy&Good의 상호작용 체계, Flanders의 상호 작용 분석 체계, 그리고 이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에 맞게 변형한 코딩 방법과 같이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활동을 수업에 영향을 주는 특성별로 범주화하여 분석틀을 설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연구들은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 체계에서 특정 요소에만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수업 전반적인 구조나 상호작용의 질을 분석하는 데는 적절하다고 보기 힘들다.

이에 비해서 수업의 전반적인 체계와 교수활동을 분석한 예로 TIMSS 비디오 연구, LPS 연구가 있다. TIMSS 비디오 연구를 구상하는 모태가 된 것은 교사가 자신의 관점에서 수업을 주관적으로 평가할 것이 아니라 수업을 촬영하여 제 3자에 의해 동일한 관점에서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에서이다. TIMSS 비디오 연구 방법으로 국가 당 약 100개의 학급을 골라서 연구해보았다. 처음에 우리는 연구의 대상이 100개나 되기 때문에 다양한 결론이 나올 것이라 생각했다. 그런데 연구 결과 국가별로 교사들이 대본처럼 가르치는 ‘국가 대본(national script)’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며 질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고 한다.
TIMSS 비디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의 한계인 대표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국가 당 100개의 학급을 골랐는데 이 방법은 여러 명에게서 촬영한 것이기 때문에 대표성에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LPS 연구가 나오게 되었다. 이 연구는 여러 명에게서 한 번씩 촬영한 것이 아니라 적은 인원에게서 여러 번 촬영을 했는데, 이 연구는 각국의 수업의 특징을 더 세세하게 보여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LPS연구에서 Hoon, Karu와 Kaim은 수업의 절차를 드러내는 항목으로 설명(D), 학생들의 좌석에서의 활동(S), 학생들의 활동에 대한 교사의 점검(R), 퀴즈(Q), 시험(T), 기타 활동(M)으로 구분하였다. 결과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수업의 모습은 DSR 패턴이라고 한다.
LPS연구에서 Mok와 Lopez-Real은 자국의 자료를 수집하여 수업의 조직과 교수활동이라는 틀로 수업을 분석했다. 수업의 조직은 교사가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설명, 질의·응답하는 전체 활동, 집단으로 문제를 풀거나 토론하는 모둠활동, 개별적으로 문제를 풀이하는 개인 활동으로 나누어진다.
교수활동은 탐구, 설명, 요약, 연습, 숙제로 나누어진다. 각각은 단어 그대로의 의미이므로 더 이상 풀어 설명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B. 문제해결 수업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가. 문제해결의 수학교육적 의의
수학을

참고문헌

- 구수연. 문제제기 활동을 이용한 수학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 2004 08

- 유현주. ‘수학논리 및 논술’ 교재(수학교육학의 전개 제3부. 수학교육 방법론 中 5절. 수업 관찰·분석을 통한 수업개선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 황성숙. 문제해결 학습지를 활용한 문제해결 활동이 수학적 태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 교육대학원, 2005 02

- <http://blog.daum.net/kdh5029/8288913>.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의 탐색 및 적용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수업 관찰·분석을 통한 수업개선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