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공][이순신 장군][이순신]충무공 이순신 장군에 관한 심층 고찰(이순신의 출생과 가족관계, 해금의 시대와 이순신, 이순신의 활동 공간, 이순신이 치른 8대 해전, 이순신의 리더십, 충무공에 관한 논평)
해당 자료는 45페이지 중 10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45
  • 품질인증

[충무공][이순신 장군][이순신]충무공 이순신 장군에 관한 심층 고찰(이순신의 출생과 가족관계, 해금의 시대와 이순신, 이순신의 활동 공간, 이순신이 치른 8대 해전, 이순신의 리더십, 충무공에 관한 논평)

자료번호 s408219
수정일 2021.02.26 등록일 2007.01.14
페이지수 45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wi****** 가격 10,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충무공 이순신 장군에 관한 심층 고찰

목차

Ⅰ. 이순신의 출생과 가족관계

Ⅱ. 무과제 이후의 관직 생활

Ⅲ. 임진왜란 때의 행적

Ⅳ. 해금의 시대와 이순신

Ⅴ. 이순신의 활동 공간
1. 좌수영 시기(1591년 2월 13일˜1593년 6월)
2. 한산도 시기(1593년 7월˜1597년 2월)
3. 우수영고하도고금도 시기(1587년 8월˜1598년 11월)

Ⅵ. 이순신이 치른 8대 해전
1. 옥포해전
2. 당항포 해전
3. 한산도 해전
4. 부산포 해전
5. 웅포해전
6. 제2차 당항포해전
7. 명량해전
8. 노량해전

Ⅶ. 이순신의 리더십

Ⅷ. 충무공에 관한 논평

본문내용

[충무공][이순신 장군][이순신]충무공 이순신 장군에 관한 심층 고찰(이순신의 출생과 가족관계, 해금의 시대와 이순신, 이순신의 활동 공간, 이순신이 치른 8대 해전, 이순신의 리더십, 충무공에 관한 논평)
Ⅰ. 이순신의 출생과 가족관계
이순신 (李舜臣, 자는 여해 汝諧)은 1545년(인종 1) 3월 8일 (양력 4월 28일)* 자시(子時, 밤 11시˜새벽 1시)에 당시의 한성부 건천동(乾川洞)에서 출생하였다. - 건천동은 지금의 서울특별시 중구 초동 동쪽의 '마른내길' 근방이며, 그가 탄생한 집터는 현재의 인현동 1가 40번지 근처로 추정되고 있다. 그의 아버지는, 고려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낸 덕수 이씨(德水李氏)의 1대 이돈수(李敦守)로부터 내려오는 11대손 정(貞)이며 평민생활을 하는 양반이었고, 어머니는 초계 변씨(草溪卞氏)였다. 어머니 변씨는 아들에 대한 사랑이 극진하면서도 가정교육에 엄격하였다. 조선왕조로 넘어오자 7대손 변(邊)은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와 홍문관대제학(弘文館大提學)을 지내는 등, 그의 가계는 주로 문관 벼슬을 이어온 양반계급의 집안이었으나, 그의 할아버지인 10대손 백록(百祿)은 정치적 혼란기에 벼슬을 사양하고 조광조(趙光祖) 등 소장파 사림들과 뜻을 같이하여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참변을 겪게 된다. 그후 아버지 정(貞)도 관직의 뜻을 버리고 평민으로 지냈으니 가세 또한 기울어 있었다. 이순신은 희신(羲臣), 요신(堯臣)을 두 형으로 두고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밑으로는 아우 우신(禹臣)이 있었다. 큰형 희신에는 네 조카 뇌(雷), 분(芬), 번(蕃) 그리고 완(莞)이 있었고, 작은형 요신에게는 두 조카 봉과 해가 있었으나, 두 형이 모두 먼저 사망하였기 때문에 이순신은 이들 여섯 조카를 돌보아야 했다. 그는 조카들에게 친자식과 같이 극진하였다고 한다. 이순신과 부인 상주방씨(尙州方氏)는 세 형제 회, 열, 면과 한 딸을 두었고, 서자(庶子)로는 두 형제 훈(薰)과 신(藎)은 무과에 올랐다. 부인 방씨(方氏)는 보성군수 진(震)의 딸인데, 이순신의 전몰 후 정경부인(貞敬夫人)의 품계에 올랐고, 80이 넘도록 살았다.
Ⅱ. 무과제 이후의 관직 생활
22세에 비로소 무예를 배우기 시작하여 28세 되던 1572년(선조 5) 훈련원별과(訓鍊院別科)에 응시하였으나 말을 달리다 말이 넘어지며 낙마하여 왼쪽 다리가 부러지는 부상을 입어 등과에 실패하였다. 32세 되던 1576년(선조 9) 봄에 식년무과(式年武科) 출장하여 병과(丙科) 제4인으로 급제하였다. 등과 하고도 그해 12월에야 귀양지로 여기던 함경도 동구비보(董仇非堡)의 권관(權管)으로 부임, 35세 되던 1579년 2월 귀경하여 훈련원봉사(訓鍊院奉事)가 되었고, 같은 해 10월에는 충청병사의 막하 군관으로 전임되었다. 이듬해 36세가 되던 1580년 (선조 13) 7월에 발포(鉢浦) 수군만호(水軍萬戶)가 되었다. 이 무렵에 좌수사 성박(成 )이 객사 뜰의 오동나무를 베어다가 거문고를 만들려 하자, 관청 물건을 함부로 베어 갈 수 없다 하여 사람을 돌려보내니 수사가 크게 호통하였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

38세, 1582년(선조 15) 1월 군기경차관(軍器敬差官) 서익(徐益)이 발포에 와서 군기를 보수하지 않았다고 무고하였기 때문에 파직(罷職) 되었다. - 이것이 이순신이 당하는 첫 번째 파직이었다. 같은 해 5월 다시 임명되어 훈련원 봉사가 되었다.
39세 1583년 (선조 16) 7월 함경남도 병사 이용의 막하 군관으로 전근, 10월에는 함경북도 건원보(乾原堡) 권관으로 오랑캐 토벌에 공을 세워 11월에 훈련원참군(訓鍊院參軍)이 되었다. 그러나 같은 달 15일 아산에서 부친이 별세하여 천리 길을 밤낮으로 달려 귀향, 성복하고 탈상까지 휴관(休官) 하였다.
42세, 1586년(선조 19) 1월 사복시주부(司僕侍主簿)에 임명되었으나 북방오랑캐들의 침입이 있자 16일만에 다시 함경도 조산보(造山堡) 병마만호(兵馬萬戶)로 천거되었다. 또 이듬해 8월에는 녹둔도(鹿屯島) 둔전관(屯田官)을 겸직하니, 섬이 외롭고 방비가 부실하여 누누이 중병을 청하였으나 병사 이일(李鎰)은 듣지 않았다. 오랑캐의 습격을 당하자 패군의 죄로 하옥, 무고된 이순신은 파직되고 백의종군(白衣從軍) 하였다. - 이것이 이순신이 당하는 두 번째 파직이었다.......
45세, 1589년(선조 22) 2월 전라순찰사 이광(李洸)의 군관이 되었고, 또 순찰사의 주청으로 조방장(助防將)을 이어, 11월에는 선전관도 겸직하게 되었으며, 12월에는 정읍(井邑)헌감이 되었다. 46세 되는 이듬해에는 고사리진(高沙理鎭)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 또, 만포진(滿浦鎭)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에 임명되기도 하였으나, 모두 대간(臺諫)들의 반대로 취소되었다.
47세, 임진왜란의 발발 1년 전인 1591년(선조 24) 2월, 진도(珍島)군수에 임명되었으나 부임 전에 다시 가리포진(加理浦鎭) 수군첨절제사에 임명, 또 부임하기도 전에 다시 전라좌도(全羅左道)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로 임명되어, 2월 13일 정읍을 떠나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 : 지금의 여수)에 부임하였다. 수사의 임명은 관철되었고, 추천자는 유성룡(柳成龍)이었다. 유성룡은 이미 이율곡(李栗谷)이 이조판서로 있을 당시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충무공][이순신 장군][이순신]충무공 이순신 장군에 관한 심층 고찰(이순신의 출생과 가족관계, 해금의 시대와 이순신, 이순신의 활동 공간, 이순신이 치른 8대 해전, 이순신의 리더십, 충무공에 관한 논평)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충무공 이순신의 리더십에 대해서...
  • Ⅰ. 서 론 이순신은 조선시대의 임진왜란 때 일본군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운 명장으로 옥포대첩, 사천포해전, 당포해전, 1차 당항포해전, 안골포해전, 부산포해전, 명량대첩, 노량해전 등에서 승리한 장군이다. 본 레포트가 조사하고자 하는 것은 이순신의 뛰어난 리더십이다. 이순신은 서자가 아닌 적자출신이다. 그리고 어렸을 때부터 이순신의 조부가 역모 죄로 몰려서 집안형편도 좋지 않았으며 그에 따른 차별도 심하게 받으면서 성장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이순신이 훗날의 업적으로 인해 지금은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받으며 우상으로 남아있다. 본 레포트
  • [임진왜란][충무공이순신장군][거북선][의병][금속활자][일본군기물]임진왜란과 해상전, 임진왜란과 충무공이순신장군, 임진왜란과 거북선, 임진왜란과 의병, 임진왜란과 금속활자, 임진왜란과 일본군기물 심층 분석
  • [임진왜란][충무공이순신장군][거북선][의병][금속활자][일본군기물]임진왜란과 해상전, 임진왜란과 충무공이순신장군, 임진왜란과 거북선, 임진왜란과 의병, 임진왜란과 금속활자, 임진왜란과 일본군기물 심층 분석 Ⅰ. 서론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 일본은 도요토미 히데요시(풍신수길: 1536-1598)가, 전국 제패를 눈앞에 두고 부하에게 피살된 오다 노부나가(직전신장: 1534-1582)의 뒤를 이어서, 전국을 장악하였다. 1587년 규슈(구주) 지역을 장악하고, 1590년에는 간토(관동) 지역을 제압함으로써 백여년간 지속된 전국 통일이 이루어진 것이다. 풍신수길은 전
  • 충무공 이순신 요약자료
  • Ⅰ. 이순신의 어린 시절 - 이순신의 조부가 역모 죄로 몰려서 집안이 몰락상태가 됨 - 동네 또래들과 전쟁놀이를 즐겼으며 또래들 사이에서는 리더역할 ☞ 용기와 자신감, 소속감, 신뢰감 등을 아이들에게 형성시켜줌 - 불의를 참지 못하는 성격,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능력 해당자료는 한글2002나 워디안 자료로 한글97에서는 확인하실 수 없으십니다.
  • [인문과학] 충무공 이순신
  • [인문과학] 충무공 이순신 지금까지 한국의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영웅 충무공에 대해 알아보았다. 공이 진정 당대의 영웅이라 불리 울 수 있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공의 사람됨에서부터 우리는 알 수가 있다. 공은 소시 적부터 어떠한 삶을 살든지 원칙과 기본을 유지하는 사람으로, 의로움과 충직함이 바탕이 된 대장부의 기상을 지닌 참다운 선비의 삶을 살고자 했다. 아마도 유년시절 조부가 기묘사화로 고난을 겪고 그에 따라 부친도 벼슬을 하지 않는 모습 등을 보면서 공은 참다운 대장부로 살고자 다짐하였으리라. 그 선택으로 공은 무인의 길을 택했다. 공은 직무에 임함에 있어 철두철
  • [임진왜란][일본][충무공이순신장군][임진왜란과 거북선][임진왜란과 판옥선][의병]임진왜란의 영향, 임진왜란과 일본, 임진왜란과 충무공이순신장군, 임진왜란과 거북선, 임진왜란과 판옥선, 임진왜란과 의병
  • [임진왜란][일본][충무공이순신장군][임진왜란과 거북선][임진왜란과 판옥선][의병]임진왜란의 영향, 임진왜란과 일본, 임진왜란과 충무공이순신장군, 임진왜란과 거북선, 임진왜란과 판옥선, 임진왜란과 의병 Ⅰ. 서론 선조 25년(1592년) 마침내 일본군의 조선침략은 시작되었다. 육군 정규 병력만 해도 157,800명, 수군 9,000명, 그 외의 많은 병력이 투입되어 전체 병력은 약 20여만 명에 이르렀다. 4월 14일 ꡐ소서행장ꡑ이 이끄는 1분대가 부산 진을 처음 침략하여 조정에서는 모두 왜군에게 대패하여, 부산 진을 침입한지 보름만에 왜군은 서울까지 북침하기에 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