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침해 사례조사 &나의 소감
해당 자료는 6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6
  • 프리미엄

인권침해 사례조사 &나의 소감

자료번호 s885841
수정일 2014.11.10 등록일 2012.05.03
페이지수 6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wn****** 가격 2,3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인권침해에 대하여 간단히 조사한 레포트&나의생각

목차

- 목차 -

* 인권침해 사례조사

① '장애아'란 이유로 유치원 입학거부


② 외국인 노동자가 겪는 어려움


③ 외국인노동자 "55% 임금체불 30% 폭행 경험


④ 교사들사이의 상호인권침해


⑤ 실버시설에서의 노인인권침해

★ 나의 생각 ★

본문내용

인권침해 사례조사 &나의 소감
- '장애아'란 이유로 유치원 입학거부 -

장애아동에겐 유치원 문턱부터 높다.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유치원 입학을 거부당한 아동의 부모가 해당 유치원과 교육부 등 관련당국을 상대로 5일 국가인권위에 진정을 접수한다.
지난해 12월 김인숙 씨는 정신지체아인 딸 박모양이 비장애아동과 통합교육을 받게 하려고 집에서 가까운 성체유치원(인보성체수도회 소속)에 찾아가 입학상담을 했다. 그러나 상담교사는 '우리 유치원은 장애아동은 받지 않습니다.
다른 아이들에게 방해가 되기 때문'이라며 입학을 거부했다고 한다. 박양의 아버지 인용 씨는 장애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유치원 입학 기회 자체를 배제한 것은 명백한 차별이고 '교육받을 권리'를 침해한 것 이라며 잘못된 관행과 이를 방치하고있는 교육당국의 책임을 규명해 줄 것을 인권위원회에 요청하기로 했다 고 밝혔다.
이에 대해 4일 성체유치원 관계자는 그런 적이 있었는지 잘 모르겠다 라고 말했다. 그러나 교사나 시설이 미비한 상태에서 정신지체 아동은 정상수업에 방해는 말할 것도 없고 그 아이가 많은 아이들 속에서 적응이 안 될 것 이라며 정신지체 아동의 입학을 거부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교육인적자원부(아래 교육부) 특수교육보건과 관계자는 시도 교육청의 특수교육운영위원회에서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인이 (유치원에) 가는 게 아니 라며 절차부터 따졌다.

특수교육진흥법 제13조(차별의 금지) 제1항은 각급학교의 장은 특수교육대상자가 당해 학교에 입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가 지닌 장애를 이유로 입학의 지원을 거부하는 등의 불이익한 처분을 해서는 안된다 라고 규정한다.
장애인복지법 제18조 4항은 각급 학교의 장은 교육을 필요로 하는 장애인이 당해 학교에 입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애를 이유로 입학의 지원을 거부하거나 입학시험 합격자의 입학을 거부하는 등의 불이익한 조치를 해서는 안된다 라고 말한다.
그런데 교육부는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절차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장애아'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았다 해도 그것은 차별이 아니라는 형식논리를 펴고 있는 셈이다. 이와 관련, 박양의 아버지는 아이의 입학을 거부한 유치원도 문제지만, 장애아동이 비장애아동과 통합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특수교사를 늘리고 특수교육시설을 확충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인권침해 사례조사 &나의 소감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