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뇌의 구조와 기능 및 뇌파(10/20 전극법) 발표자료(ppt, 시나리오포함)
해당 자료는 15페이지 중 5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5

대뇌의 구조와 기능 및 뇌파(10/20 전극법) 발표자료(ppt, 시나리오포함)

자료번호 e376401
수정일 2010.04.14 등록일 2010.04.14
페이지수 15Page 파일형식 파워포인트(ppt)
판매자 ed***** 가격 2,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ms ppt 2003을 기반으로 만들어 졌으며
대뇌의 구조와 역할 그리고 뇌파 10/20전극법에 대한 설명과 방법에 대해 파워포인트로 제작되었습니다.
물론 바로 발표가 가능하도록 애니메이션 및 시나리오가 첨부되어 있습니다.

목차

본 자료는 목차정보가 없습니다.

본문내용

부착부위 정리 및 소독
- 두피 전극 부착 부위 머리카락은 잘 정리 후 alcohol 소독,
fat 성분 제거
    - Air dry
    - paste 도포
: 직경 10mm넘지 않게(他 전극 위치까지 퍼지면 안 된다)
전극 부착
- 전극에 plaster로 붙일 수 있게 미리 준비
- 부착

참고문헌

본 자료는 참고문헌이 없습니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대뇌의 구조와 기능 및 뇌파(10/20 전극법) 발표자료(ppt, 시나리오포함)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정서발달과 대뇌 신경계의 변화와의 관계 및 정서생활의 원리
  • 정서발달과 대뇌 신경계의 변화와의 관계 및 정서생활의 원리 - 정서발달과 상응하는 대뇌 신경계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대부분 뇌의 정서 야기 중추는 변연계, 시상하부, 뇌간이다. 이곳은 뇌피질에 비해 계통발생적으로 오래된 부위이다. 생후 3개월까지 피질 신경세포의 수가 증가하지는 않지만 수지상 돌기가 정교하게 분화되면서 길게 뻗어 나가며 시냅스를 이루게 된다. 10개월 정도 되면 전두엽이 성장하기 시작하며 교감신경계통이 발달하고 피질과 변연계의 기본적 연결이 확립된다. 걸음마 시기가 되면 변연계가 완전히 성숙하며 부교감 신경계의 발달이 가속화된다. 교감신경계로부터
  •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 (맥관계의 구조와 기능, 혈액계의 구조와 기능)
  •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 (맥관계의 구조와 기능, 혈액계의 구조와 기능) ★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 ★ 1. Heart  1) Structure of the Heart            ≪ 그 림 ≫   심장은 흉곽 중앙에서 약 2/3가 왼쪽에 위치하며, 보통 자신의 주먹만하며 길이는 약 12cm이고, 무게는 230~340g정도 이다. 횡격막위인 좌우폐사이인 종격(mediastinum)안에 있고, 제3-6늑연골 사이에 위치한다. 원추상의 기관으로 심첨은 제5늑골과 6늑골사이인 제5늑간의 쇄골중앙선에 있다. 심장은 심내막, 심근, 심외막 등 3층 벽으로
  • 초등교육(초등학교교육)의 기본성격과 이론적 배경, 초등교육(초등학교교육)과 대뇌성장, 초등교육(초등학교교육)과 문제해결력, 초등교육(초등학교교육)과 교직전문성, 초등교육과 교육정보화, 공동체의식 분석
  • 초등교육(초등학교교육)의 기본성격과 이론적 배경, 초등교육(초등학교교육)과 대뇌성장, 초등교육(초등학교교육)과 문제해결력, 초등교육(초등학교교육)과 교직전문성, 초등교육과 교육정보화, 공동체의식 분석 초등교육의 명칭과 의미가 나라마다 제도마다 다르게 표현되고 있다. 먼저, ‘초등교육’의 영어 표현과 그 의미가 나라마다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공식적으로 초등교육을 ’elementary education`으로 표시한다. 이에 비하여 영국은 ‘primary education`으로 표현한다. 영국에는 역사적인 배경, 문화적인 전통, 학제의 차이로 초등교육을 수행하
  • [인두][인두 기능][인두암][비인두강암][구인두암][하인두암][후두][후두 기능][후두암]인두의 구조, 인두의 기능, 인두와 인두암(비인두강암, 구인두암, 하인두암), 후두의 구조, 후두의 기능, 후두와 후두암 분석
  • [인두][인두 기능][인두암][비인두강암][구인두암][하인두암][후두][후두 기능][후두암]인두의 구조, 인두의 기능, 인두와 인두암(비인두강암, 구인두암, 하인두암), 후두의 구조, 후두의 기능, 후두와 후두암 분석 Ⅰ. 인두의 구조와 기능 1. 구조 비강에 이어지며 두 개저의 위치에서 시작해 경추의 앞면을 식도까지 하강하는 약 7~8cm 정도의 관상구조 기관이다. 근육과 표면을 덮은 점막으로 이뤄지고 다른 기관에 개구되어 있다. 1) 상인두 연구개보다 윗 부분으로 비강의 연속 부위이며 비인강 이라고도 한다. 여기에는 중이강으로 통하는 유스타키오관의 개구부가
  • 대뇌해부학
  • 대뇌해부학 뇌실 (Ventricles) 뇌실은 뇌 안의 네개의 강(cavity)으로서 두개의 측뇌실과 세 번째, 네 번째 뇌실로 구성된다(그림①) 각 뇌실은 맥락막총이라 불리는 모세혈관구조를 포함하며 혈장으로부터 뇌척수액(CSF)을 형성한다. (그림 ① 뇌실) 뇌(척수)막 & 뇌척수액 (Meninges & Cerebrospianal Fluid) 뇌와 척수를 싸고 있는 결체조직의 막을 뇌(척수)막이라고 한다 (그림 ② 뇌막의 구조) 섬유성 결체조직인 두꺼운 제일 바깥쪽 막을 경막(dura mater)이라고 부며 이 막은 두개골과 척수강에 연해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