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존적 심리치료의 주요인물(빈스방거Ludwig Binswanger,보스Medard Boss,메이Rollo May,프랭클Viktor Frankl,얄롬Irvin Yaiom)과 철학적 배경(키에르케고르Kierkegaard,니체Nietzsche,하이데거Heidegger,부버Buber)
해당 자료는 9페이지 중 3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9
  • 품질인증
  • 프리미엄

실존적 심리치료의 주요인물(빈스방거Ludwig Binswanger,보스Medard Boss,메이Rollo May,프랭클Viktor Frankl,얄롬Irvin Yaiom)과 철학적 배경(키에르케고르Kierkegaard,니체Nietzsche,하이데거Heidegger,부버Buber)

자료번호 r1338841
수정일 2015.05.20 등록일 2015.05.19
페이지수 9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yu******** 가격 2,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프리미엄 자료가 없습니다

소개글

정성것 작성하여 만든 레포트입니다.
다른 레포트 자료보다 가격면이 저렴하다고 해서 자료의 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습니다.
활용하거나 참고하셔서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되길 바래요.

목차

1. 실존적 심리치료의 선구자
 1) Ludwig Binswanger
 2) Medard Boss
 3) Rollo May
 4) Viktor Frankl
 5) Irvin Yaiom

2. 실존치료의 철학적 배경
 1) Kierkegaard
 2) Nietzsche
 3) Heidegger
 4) Buber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존적 심리치료의 주요인물(빈스방거Ludwig Binswanger,보스Medard Boss,메이Rollo May,프랭클Viktor Frankl,얄롬Irvin Yaiom)과 철학적 배경(키에르케고르Kierkegaard,니체Nietzsche,하이데거Heidegger,부버Buber)
1. 실존적 심리치료의 선구자

실존적 심리치료는 그 핵심가정과 인간관이 실존주의 철학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여러 실존철학자의 사상에 토대를 두고 있기 때문에 단일한 창시자를 논하기가 어렵다. 실존철학을 심리치료 분야에 처음으로 적용한 인물은 Ludwig Binswanger이며 두 번째의 선구적인 인물로는 Medard Boss를 들 수 있다. 대부분의 실존치료자들이 실존철학적 관점을 자신의 치료에 활용했지만 체계적인 이론이나 기법을 제시하지 않았다. 심지어 Boss는 심리치료의 이론화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실존적 심리치료가 널리 알려지는 데는 Rollo May와 Victor Franks 공헌이 크며, Irvin Yalom은 1980년에 『실존적 심리치료(Existential Psychotherapy)』를 출간함으로써 최초로 실존치료에 대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논의를 시도했다. 실존주의의 주요 인물들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 중 략 … ≫




2. 실존치료의 철학적 배경

실존치료의 바탕이 되고 있는 실존주의 철학은 개인의 자유,책임, 주관성을 중요하게 여기며 각자 고유성을 지니는 개인은 자신의 행동과 운명의 주인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실존주의 철학은 세계대전의 비극을 경험하면서 인간의 이성,역사의 발전,신의 권능에 대한 회의에서 출발하였다. 실존주의 철학은 유한보다 무한,개별보다는 보편,시간보다는 영원을 추구하는 전통적인 이론적 철학의 추상성을 배격하고 인간 삶의 맥락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실천 지향적인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실존철학자들의 주장은 매우 다양하지만 모두 인간의 '실존’ 을 가장 주된 관심사로 삼았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실존(existence)의 어원은 ‘ex-sistere’로서 '도드라지다(stand-out)’ '나타나다(emerge)’ 라는 의미를 지니며 생성(becoming)의 개념을 포함한다. 실존의 의미는 본질과의 비교를 통해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질(essence)은 어떤 실체를 다른 것과 구별하게 만드는 보편적이고 불변적인 속성을 뜻한다. 이에 반해,실존(existence)은 한 실체가 지니는 특별하고 구체적인 속성으로서 그 실체가 세상과 관계 맺는 독특한 방식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철학은 보편타당한 법칙,즉 진리를 추구해왔다. 그러나 Edmund Husserl은 우리가 아는 것은 우리가 경험하는 것밖에 없다고 주장하면서 인식 주체를 떠나 객관적인 법칙을 추구하는 것에 반대했다. 우리가 자신과 세계에 대해서 알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우리의 의식과 경험 자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Husserl의 사상은 현상학을 통해서 실존철학이 태동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Jean Paul Sartre가 실존주의를 인본주의(humanism)와 일맥상통한다고 주장한 것은 실존주의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철학이 인간 개인의 삶과 주관적 경험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기 때문이다. 실존적 심리치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주요 실존철학자로는 Kierkegaard, Nietzsche, Heidegger, Buber가 있다.
1) Kierkegaard
쇠렌 키에르케고르(S0ren Kierkegaard, 1813~1855)는 덴마크의 철학자로서 실존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여겨지고 있다. 그는 인간의 합리성을 강조하는 추상적인 헤겔의 철학을 비판하면서 인간 삶의 구체적인 현실에 관심을 지녔다. Kierkegaard는 순수한 객관성은 달성 불가능할 뿐만

참고문헌

천성문 저,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5
천성문, 김진숙 외 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 CengageLearning 2013
Gerald Corey 저,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CENGAGELEARNING 2013
현정환 저, 상담심리학(상담이론 실제 연습), 양서원 2013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실존적 심리치료의 주요인물(빈스방거Ludwig Binswanger,보스Medard Boss,메이Rollo May,프랭클Viktor Frankl,얄롬Irvin Yaiom)과 철학적 배경(키에르케고르Kierkegaard,니체Nietzsche,하이데거Heidegger,부버Buber)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아들러이론]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사상,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중요이론과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치료상담 과정, 치료상담 기술 및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치료기법과 절차 그리고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평가 분석
  • [아들러이론]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사상,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중요이론과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치료상담 과정, 치료상담 기술 및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치료기법과 절차 그리고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평가 분석 Ⅰ.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사상 알프레드 아들러(1870-1937)는 프로이드가 지나치게 유아기적 성을 강조하는 데서 벗어나 인간은 자기실현을 위하여 합목적적으로 추구하는 존재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인간은 태어나서 유아기 시절의 무력한 상태와 열등상태에서부터 출발하여 그 열등의식inferiority complex을 극복하고 우월성(superiority)과 힘에의 의지(wil
  • [사회복지실천기술론]현대상담-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사회복지실천기술론]현대상담-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제 1장 정신분석치료 Ⅰ. 서론 시그문트 프로이드 (Sigmund Freud 1856~1939)는 19세기 유럽 빅토리아 문화를 산실로 하여 정신분석학을 창시하였다. 프로이드는 “Analyse(analysis)"라는 용어를 1894년 <방어신경정신병>이라는 논문에서 처음으로 썼다. ”Psychoanalyse"라는 표현은 1896년에 불어로 발표한 신경증의 병인론에 관한 논문에서, 독일어로는 같은 해에 <방어신경정신병에 대한 부언>에서 최초로 씌어졌다. 이 새로운 학문은 Psychoanalyse로 명명이 되면
  • 인지행동치료-상담심리
  • *ALBERT ELLIS 엘리스는 1913년 피츠버그에서 태어났다.어렸을 때에 신장염으로 9번이나 병원에 입원했고, 19살 때는 신장 당뇨, 40살에는 당뇨병으로 고생했다. 그러나 건강에 조심하고 건강문제로 비참하게 살지 않기로 결심하면서 강건하고 활력 있는 삶을 살았다.1947년에서 1953년까지 그는 고전적 분석을 배웠고 준석 심리상담/치료를 지향했다. 1955년 초기에 그는 인본주의적, 철학적, 행동적 심리상담/치료를 결합하여 합리적 정서 치료 (REBT :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를 만들어 냈다. 엘리스는 인지행동치료의
  • [상담과 심리치료] 실존치료에 대한 이해 및 실존치료의 창시자들과 주요 인물들의 생애(루드비히 빈스방거 와 메달 보스, 빅터 플랭클, 롤로 메이, 제임스 부겐탈, 어반 얄롬)
  • [상담과 심리치료] 실존치료에 대한 이해 및 실존치료의 창시자들과 주요 인물들의 생애(루드비히 빈스방거 와 메달 보스, 빅터 플랭클, 롤로 메이, 제임스 부겐탈, 어반 얄롬) 1. 실존치료에 대한 이해(개요) 실존치료(Existential Therapy)는 특별한 기술을 요하는 특정한 치료라기보다는 상담에 대한 철학적 태도나 접근을 말한다. 물론 실존치료자들에 의해 몇몇 치료들이 개발되고 시용되기도 하였다. 그래서 실존치료는 하나의 확정된 접근이 아닌, 몇몇 실존주의 심리치료들로 구성된 접근법이라고 기술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R. A. Walsh & McElwain, 2002). 하지만 본 보고서에서는 ‘실존치료’라는 용어는 실존적 철학에 근거한 치료 접근법과 상담을 언급하는 데에 시용될 것이다. 실존치료는 내담자가 진실되고 의미 있으며, 책임 있는 방법으로 자기 실존을 경험하도록 도와주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는 실존적 철학에 근거하는데, 이 철학은 인간이란 자기 삶에서 의미를 창조하기 위해 무언가를 선택하는 책임뿐만 아니라 자유도 가지는 존재라고 본다. 비록 사람들이 특정한 삶의 정황에 대처하는 데에 어떤 제한이 있을 수 있지만, 그들은 여전히 자기 삶의 문제들을 어떻게 다룰지 선택할 자유가 있다. 모든 인간이 궁극적으로 다루어야만 하는 중요한 문제는, 죽음과 죽을 운명(mortality), 자유, 허무나 공허함, 외로움 그리고 삶의 접근과 가치를 선택함에 있어 진정성을 가져야 할 필요성을 포함한다. 실존치료는 치료 기법보다는 내담자와 치료자 간에 이루어지는 치료 관계와 진지한 만남을 강조한다. 실존치료자들의 인간본성에 관한 견해는 다양한데, 낙천적이기도 하지만 회의적이고, 더 나아가 허무주의적이기까지 하다. 또 종교적인 이들도 있고, 반종교적 인 이들도 있다. 실존치료는 19, 20세기 몇몇 철학자들과 사상가들의 영향을 크게 받있다. 이들 중 몇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소렌 키에르케고르(Soren Kierkegaard, 1813-55), 고뇌 또는 죽음과 불안에 대하여 썼던 덴마크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e, 1844-1900), 독창성과 창조성에 대한 인간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데 필요한 '권력에의 의지’와주관성에 관해 글을 썼다. 마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6)는 매일 현명하고 신중하게 살기 위한 선택과 진정한 삶에 초점을 맞추는 현상학 혹은 현상학적 실존주의의 발달에 핵심인물이자철학자였으며,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소설가인 장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 1905-1980)는 훨씬 더 급진적 지유의지를 강조했다. 그는 인간은 자신이 겪었던 과거와 상관없이 자기의 인격과 가치를 선택한다고 했다. 신학자 마틴 부버(Martin Buber, 1878-1965)는 나와
  • 실존적 심리치료의 주요인물(빈스방거Ludwig Binswanger,보스Medard Boss,메이Rollo May,프랭클Viktor Frankl,얄롬Irvin Yaiom)과 철학적 배경(키에르케고르Kierkegaard,니체Nietzsche,하이데거Heidegger,부버Buber)
  • 실존적 심리치료의 주요인물(빈스방거Ludwig Binswanger,보스Medard Boss,메이Rollo May,프랭클Viktor Frankl,얄롬Irvin Yaiom)과 철학적 배경(키에르케고르Kierkegaard,니체Nietzsche,하이데거Heidegger,부버Buber) 1. 실존적 심리치료의 선구자 실존적 심리치료는 그 핵심가정과 인간관이 실존주의 철학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여러 실존철학자의 사상에 토대를 두고 있기 때문에 단일한 창시자를 논하기가 어렵다. 실존철학을 심리치료 분야에 처음으로 적용한 인물은 Ludwig Binswanger이며 두 번째의 선구적인 인물로는 Medard Boss를 들 수 있다. 대부분의 실존치료자들이 실존철학적 관점을 자신의 치료에 활용했지만 체계적인 이론이나 기법을 제시하지 않았다. 심지어 Boss는 심리치료의 이론화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실존적 심리치료가 널리 알려지는 데는 Rollo May와 Victor Franks 공헌이 크며, Irvin Yalom은 1980년에 『실존적 심리치료(Existential Psychotherapy)』를 출간함으로써 최초로 실존치료에 대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논의를 시도했다. 실존주의의 주요 인물들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 중 략 … ≫ 2. 실존치료의 철학적 배경 실존치료의 바탕이 되고 있는 실존주의 철학은 개인의 자유,책임, 주관성을 중요하게 여기며 각자 고유성을 지니는 개인은 자신의 행동과 운명의 주인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실존주의 철학은 세계대전의 비극을 경험하면서 인간의 이성,역사의 발전,신의 권능에 대한 회의에서 출발하였다. 실존주의 철학은 유한보다 무한,개별보다는 보편,시간보다는 영원을 추구하는 전통적인 이론적 철학의 추상성을 배격하고 인간 삶의 맥락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실천 지향적인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실존철학자들의 주장은 매우 다양하지만 모두 인간의 '실존’ 을 가장 주된 관심사로 삼았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실존(existence)의 어원은 ‘ex-sistere’로서 '도드라지다(stand-out)’ '나타나다(emerge)’ 라는 의미를 지니며 생성(becoming)의 개념을 포함한다. 실존의 의미는 본질과의 비교를 통해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질(essence)은 어떤 실체를 다른 것과 구별하게 만드는 보편적이고 불변적인 속성을 뜻한다. 이에 반해,실존(existence)은 한 실체가 지니는 특별하고 구체적인 속성으로서 그 실체가 세상과 관계 맺는 독특한 방식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철학은 보편타당한 법칙,즉 진리를 추구해왔다. 그러나 Edmund Husserl은 우리가 아는 것은 우리가 경험하는 것밖에 없다고 주장하면서 인식 주체를 떠나 객관적인 법칙을 추구하는 것에 반대했다. 우리가 자신과 세계에 대해서 알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우리의 의식과 경험 자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Husserl의 사상은 현상학을 통해서 실존철학이 태동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Jean Paul Sartre가 실존주의를 인본주의(humanism)와 일맥상통한다고 주장한 것은 실존주의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철학이 인간 개인의 삶과 주관적 경험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기 때문이다. 실존적 심리치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주요 실존철학자로는 Kierkegaard, Nietzsche, Heidegger, Buber가 있다. 1) Kierkegaard 쇠렌 키에르케고르(S0ren Kierkegaard, 1813~1855)는 덴마크의 철학자로서 실존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여겨지고 있다. 그는 인간의 합리성을 강조하는 추상적인 헤겔의 철학을 비판하면서 인간 삶의 구체적인 현실에 관심을 지녔다. Kierkegaard는 순수한 객관성은 달성 불가능할 뿐만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