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분석실험] 식초 중 아세트산 함량 측정
해당 자료는 7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7
  • 프리미엄

[식품분석실험] 식초 중 아세트산 함량 측정

자료번호 s1215307
수정일 2014.11.10 등록일 2013.08.06
페이지수 7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le******* 가격 1,8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식품분석실험] 식초 중 아세트산 함량 측정 자료입니다.

목차

1. Title : 식초 중 아세트산 함량 측정

2. Abstract or Summary

3. Introduction

4. Materials & Methods

5. Results

6. Discussion

7. Reference

본문내용

[식품분석실험] 식초 중 아세트산 함량 측정
1. Title : 식초 중 아세트산 함량 측정

2. Abstract or Summary
식초는 아세트산을 함유하고 있는 액체 조미료로 우리는 중화 적정법을 사용하여 식초가 함유하고 있는 아세트산의 함량을 알아본다. 희석시킨 식초에는 지시약으로 phenolphtalein 용액을 사용하는데 식초에 phenolphtalein 용액을 2~3방울 떨어뜨린 후, 이 전 실험에서 미리 만들어 놓은 0.1N NaOH 표준용액을 넣고 적정하기 시작하여 용액의 색이 무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하는 점이 end point가 된다. 이 end point를 이용하여 소비된 0.1N-NaOH표준용액의 양과 이미 알고 있는 0.1N-NaOH 표준용액의 factor값, 시료의 양을 이용하여 식초 중 아세트산의 농도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즉 아세트산의 함량을 구하는 식

* 아세트산 함량( %, w/v) = ( e x v x f / S) x 100
e = 역가
v = 0.1N-NaOH소비량(ml)
f = factor
S = 식초양 (ml)

을 이용하여 나온 식초 중 아세트산의 함량은 7.05%이다.
.
.
.
3. Introduction

* 식초의 종류 (H .W)
식초는 신맛을 가지는 대표적인 조미료이며 발효시켜 양조한 것이다. 과일의 신맛을 이용한 것, 합성한 것 등이 있다. 입맛을 자극하여 돋우며 피로회복과 미용에도 효과가 있다.
영어 비니거(vinegar)는 프랑스어의 포도주(vin)과 신맛(aigre)를 합친 vinaigre에서 온 말이다. 원래는 포도주를 아세트산 발효시켜 식초를 만들었으므로 이렇게 불렸다고 생각된다. 또 염매라는 것이 있는데, 옛 중국의 산미료인 살구 식초를 일컫는 것 같다.
식초의 종류는 많다. 그것은 알코올 성분을 가지는 것에 아세트산균을 번식시키면 비교적 간단하게 식초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아세트산 발효를 일으키는 아세트산균은 산소성(호기성)의 산막균으로 발효 탱크의 표면에 깨끗한 균막을 만드는데, 통기를 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아세트산발효를 일으키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참고문헌

손종연 저, 『식품분석실험』, 도서출판 진로, 2008, 54p-57p
노완섭, 산업미생물학회지, Vol.6 No.3, 1978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식품분석실험] 식초 중 아세트산 함량 측정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0.1N 염산표준액의 조제 및 표정
  • 0.1N 염산표준액의 조제 및 표정 실험목적 진한 염산을 묽게 약 N/10으로 하고, N/10 탄산나트륨 표준액으로 표정한다. 메틸오렌지 지시약으로 3개의 적정 종말점을 구하고, , 12x=(1/10)x500 x =4.2ml 표정은 탄산나트륨 표준액을 사용한다. 이 반응의 종점은 pH가 약 3.8이므로 지시약을 메틸오렌지를 사용한다.(BTB를 사용해도 된다.) 메틸오렌지지시약은 산성~약산은 빨강 약산,중,약염 주황 염기일때는 노랑색을 나타낸다. 이 반응식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관계를 알 수 있다. (기호는 당량관계를 나타낸다.) (1당량) 실험방법 (1) 0.1 노르말의 염산표준액을 제조하기위해 메스플라스크에 200~300ml 증류수를 넣고 피펫으로 4.2ml 12N에 해당하는 염산을 넣고 다시 증류수를 넣어 500ml 표선까지 넣어준다. *주의 사항 -강한산과 물을 혼합할 때는 물에 강한산을 넣어가며 혼합하여야 한다. . (2) 정확한 실험을 위해 조제한 염산표준액을 뷰렛에 넣어서 공세척을 해준다. 코크를 열어준다. 공세척이 끝나면 깔대기를 단다. (3) 피펫으로 표준액을 코니칼비이커(삼각비이커)3개 에 25ml 넣고, 메틸오렌지를 2~3방울 떨어뜨린다.(노란색으로 변함) (4) 다 설치된 스탠드와 뷰렛에 코크를 잠근 상태에서 위에 염산표준액을 30ml선 보다 조금더 넣고 빈 비이커를 밑에 받치고, 뷰렛에 공기가 다 빠지도록 처리를 한다. (5) 그 다음 삼각플라스크 밑에 백지를 깔고, 염산표준액을 천천히 떨어뜨려 적정한다. (6) 3개의 비이커에 동일한 실험과정을 거친다. 색이 변화는 순간 마지막 한 방울을 더 떨
  • [식품분석실험] 식초 중 아세트산 함량 측정
  • [식품분석실험] 식초 중 아세트산 함량 측정 1. Title : 식초 중 아세트산 함량 측정 2. Abstract or Summary 식초는 아세트산을 함유하고 있는 액체 조미료로 우리는 중화 적정법을 사용하여 식초가 함유하고 있는 아세트산의 함량을 알아본다. 희석시킨 식초에는 지시약으로 phenolphtalein 용액을 사용하는데 식초에 phenolphtalein 용액을 2~3방울 떨어뜨린 후, 이 전 실험에서 미리 만들어 놓은 0.1N NaOH 표준용액을 넣고 적정하기 시작하여 용액의 색이 무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하는 점이 end point가 된다. 이 end point를 이용하여 소비된 0.1N-NaOH표준용액의 양과 이미 알고 있는 0.1N-NaOH 표준용액의 factor값, 시료의 양을 이용하여 식초 중 아세트산의 농도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즉 아세트산의 함량을 구하는 식 * 아세트산 함량( %, w/v) = ( e x v x f / S) x 100 e = 역가 v = 0.1N-NaOH소비량(ml) f = factor S = 식초양 (ml) 을 이용하여 나온 식초 중 아세트산의 함량은 7.05%이다. . . . 3. Introduction * 식초의 종류 (H .W) 식초는 신맛을 가지는 대표적인 조미료이며 발효시켜 양조한 것이다. 과일의 신맛을 이용한 것, 합성한 것 등이 있다. 입맛을 자극하여 돋우며 피로회복과 미용에도 효과가 있다. 영어 비니거(vinegar)는 프랑스어의 포도주(vin)과 신맛(aigre)를 합친 vinaigre에서 온 말이다. 원래는 포도주를 아세트산 발효시켜 식초를 만들었으므로 이렇게 불렸다고 생각된다. 또 염매라는 것이 있는데, 옛 중국의 산미료인 살구 식초를 일컫는 것 같다. 식초의 종류는 많다. 그것은 알코올 성분을 가지는 것에 아세트산균을 번식시키면 비교적 간단하게 식초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아세트산 발효를 일으키는 아세트산균은 산소성(호기성)의 산막균으로 발효 탱크의 표면에 깨끗한 균막을 만드는데, 통기를 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아세트산발효를 일으키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 분석. 실험 - 0.1N NaOH의 역가, 식초의 초산 함량, 과일주스의 유기산 함량, 소금물의 소금 함량 측정 [모르(Mohr)적정법]
  • 분석. 실험 - 0.1N NaOH의 역가, 식초의 초산 함량, 과일주스의 유기산 함량, 소금물의 소금 함량 측정 [모르(Mohr)적정법] [0.1N NaOH의 역가] 1. 실험목적 NaOH와 HCl를 이용하여 역가를 구한다. 2. 이론적 배경 어떤 농도의 용액을 조제하다 보면 각 과정마다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아무리 주의를 기울여도 만들어진 용액의 농도는 100% 정확할 수 없다. 그래서 용액의 농도가 실험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용량분석에 사용되는 용액들은 반드시 그 용액이 얼마나 정확하게 만들어 졌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그 용액의 역
  • 식초중 아세트산의 정량
  • 식초중 아세트산의 정량 Title 식초에 함유된 아세트산 정량 및 구분 Abstract or summary 이번 실험은 식초에 들어있는 아세트산의 함량을 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더불어 그 이외에 어떤 식초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번 실험에서는 2주차 실험에서 제조한 0.1N-NaOH 표준용액을 사용하였다. 보다 정확한 실험값을 위하여 마이크로 피펫을 이용하여 아세트산 3ml를 옮겨 담은 뒤 증류수와 mess up 시키고 식초에 함유된 아세트산의 함량을 알기위하여 phenolphthalein과 저번에 제조한 F 값이 1.03인 0.1N-NaOH 표준용액을
  • 식초중 아세트산의 정량
  • 식초중 아세트산의 정량 1. Abstract 이번실험에서는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한 중화적정법을 이용하여 식초 중 아세트산을 정량하였다. 시료로는 시판되는 양조식초를 사용하였고 표준용액으로는 지난 실험 때 조제한 0.1N-NaOH 표준용액을 이용하였다. 식초 일정량을 취해 물에 희석시킨 후 지시약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2~3방울을 떨어뜨린 후 0.1N-NaOH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용액이 무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하는 점을 종말점으로 하여 아세트산의 양을 적정해 내었다. 소비된 0.1N-NaOH 표준용액의 양과 사용한 표준용액에 대한 아세트산의 역가를 이용하여
최근 본 자료
최근 본 자료가 없습니다.
카카오 채널
청소해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