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충용액
해당 자료는 6페이지 중 2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6
  • 품질인증
  • 프리미엄

완충용액

자료번호 s1233467
수정일 2021.01.01 등록일 2013.09.30
페이지수 6Page 파일형식 한글(hwp)
판매자 dk******* 가격 2,5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 완충용액buffer mixture
  • 완충용액buffer mixture 1.실험제목: 완충용액 2.실험목적 -완충 용액의 원리를 탄산같은 이양성자산의 적정 곡선을 통하여 배운다. 3.서론 및 정리 강산을 강염기로 적정할 때 pH는 적정되지 않는 산이나 과잉 염기의 농도만으로 구해질 수
  • 완충용액 - 외부로부터 어느 정도의 산이나 염기를 가했을 때,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수소이온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용액
  • 완충용액 - 외부로부터 어느 정도의 산이나 염기를 가했을 때,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수소이온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용액 ①정의 외부로부터 어느 정도의 산이나 염기를 가했을 때,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수소이온농도를 일정하게
  • 완충용액 예비 보고서
  • 완충용액 예비 보고서 ◎서 론 산, 염기 반응의 pH 적정의 원리를 이해하고 완충용액을 사용하는 목적을 이해한다. ◎이 론 1.완충용액 완충용액(buffer solution)이란, 어떤 용액이 외부로부터 소량의 산, 염기가 가해졌거나, 그 용

소개글

완충용액

목차

완충용액


● 서론
1.실험 목적
2.실험 방법

● 실험이론
1. 실험에 사용되는 반응이론
2. 실험에 사용되는 방법이론
3. 실험의 배경이론
4. 실험에 필요한 용어

● 실험
1. 실험장비
2. 시약 및 시료
3. 실험 방법

● 실험결과

● 고찰 및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완충용액
● 서론
 1.실험 목적 : 산, 염기반응의 pH 적정원리를 이해하고, 완충용액을 사용하는 목적을 이해한다.

 2.실험 방법 : 1. 약산 EDTA를 수산화 칼륨으로 적정할 때 적당한 pH변화를 구한다
        2. Acetate 완충용액을 식초산나트륨과 식초산수용약으로 적정시 소비량을 계산한다.
● 실험이론
 1. 실험에 사용되는 반응이론
  ㉠. 중화반응 :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물과 염이 생성되는 반응으로, 알짜 이온식은 다음과
        같이 수소 이온 1몰과 수산화 이온 1몰이 반응하여 물 1몰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H+ + OH- → H₂O)
        산을 염기로 적정할 때 중화가 완전히 진행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수소이온의 몰수) = (수산화이온의 몰수)
        이것을 산의 가수, 산의 몰농도, 산의 부피, 염기의 가수, 염기의 몰농도,
        염기의 부피를 사용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산의 가수) X (산의 몰농도) X (산의 부피)
        = (염기의 가수) X (염기의 몰농도) X (염기의 부피)




≪ … 중 략 … ≫




● 실험
 1. 실험장비
  플라스크, 비이커, 뷰렛

 2. 시약 및 시료
  KOH, EDTA (Ethyldiamine tetraacetic acid), 아세트산 수용액, 아세트산나트륨

                       ≪ 표 ≫

 3. 실험 방법
  ㉠. 0.1M인 약산 Ethyldiamine tetraacetic acid(EDTA, pK=1.70) 500ml를 0.1M 수산화
    칼륨으로 적정할 때 적당한 pH 변화를 구한다.

  ㉡. 0.2M Acetate 완충용액(pH 5.0) 3ℓ를 식초산나트륨 (3수화물:MW=136)과 1M의 식초산
    수용액의 소비량을 계산한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일반화학 / Ralph A. burns 저 / 녹문당 편
과학용어사전 / 뉴턴코리아 편
화학용어사전 / 일진사 편
전자용어사전 / 성안당 편
생명대백과 사전 / 강영희 저 / 아카데미서적 편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완충용액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자연과학] pH Titeration(PH 적정)과 완충용액
  • □목적 - 우리몸의 내액과 세포 외액의 수소이온 농도는 매우 좁은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pH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다면 생물체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 이처럼 완충액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대사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높은 온도의 유기산에 의해 액체의 pH값이 변하게 된다. 혈액을 예로 들어서 혈액에 산이나 염기를 가해도 이러한 pH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첨가된 산과 염기를 중화시킬 수 있는 생체분자의 이질적 혼합물이기 때문다. 혈액을 비롯한 여러 부분에서 생물학적으로 이런 문제를 방지해 주는 완충계(buffer system)를 가지고 있으며, 화학
  • [일반화학실험]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 예비 &결과 레포트
  • [일반화학실험]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 예비 &결과 레포트 1. 실험 목적 실험의 목적은 저울과 액체를 옮기는 데 사용하는 기구들의 사용하는 법을 익히고 실험 데이터의 처리법, 불확실도를 측정하는 법에 대해서 배우기 위함이다.. 2. 시약 및 기구 지름 피펫(10mL), 뷰렛, 전자저울, 비이커(100mL 혹은 50mL) 눈금 실린더 (10mL), 증류수 3. 실험 이론 3-1) 화학실험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물리적 양에는 질량(주어진 물질의 고유한 양), 무게(물질에 작용하는 중력의 측정치), 부피(물질이 차지하는 공간의 단위) 등이 있다.
  • 완충용액
  • 완충용액 ● 서론  1.실험 목적 : 산, 염기반응의 pH 적정원리를 이해하고, 완충용액을 사용하는 목적을 이해한다.  2.실험 방법 : 1. 약산 EDTA를 수산화 칼륨으로 적정할 때 적당한 pH변화를 구한다         2. Acetate 완충용액을 식초산나트륨과 식초산수용약으로 적정시 소비량을 계산한다. ● 실험이론  1. 실험에 사용되는 반응이론   ㉠. 중화반응 :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물과 염이 생성되는 반응으로, 알짜 이온식은 다음과         같이 수소 이온 1몰과 수산화 이온 1몰이 반응하여 물 1몰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H+ + OH- → H₂O)         산을 염기로 적정할 때 중화가 완전히 진행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수소이온의 몰수) = (수산화이온의 몰수)         이것을 산의 가수, 산의 몰농도, 산의 부피, 염기의 가수, 염기의 몰농도,         염기의 부피를 사용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산의 가수) X (산의 몰농도) X (산의 부피)         = (염기의 가수) X (염기의 몰농도) X (염기의 부피) ≪ … 중 략 … ≫ ● 실험  1. 실험장비   플라스크, 비이커, 뷰렛  2. 시약 및 시료   KOH, EDTA (Ethyldiamine tetraacetic acid), 아세트산 수용액, 아세트산나트륨                        ≪ 표 ≫  3. 실험 방법   ㉠. 0.1M인 약산 Ethyldiamine tetraacetic acid(EDTA, pK=1.70) 500ml를 0.1M 수산화     칼륨으로 적정할 때 적당한 pH 변화를 구한다.   ㉡. 0.2M Acetate 완충용액(pH 5.0) 3ℓ를 식초산나트륨 (3수화물:MW=136)과 1M의 식초산     수용액의 소비량을 계산한다.
  •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 [결과레포트]
  • 2. 고찰 및 결론 - 자연과학 실험은 도구나 기구를 이용하는 물리적 양의 측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들 도구나 기기는 얻고자하는 결과에 걸맞은 정밀도를 가져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각각의 도구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 실험에서 사용한 기구는 모두 전자저울, 피펫, 눈금 실린더, 뷰렛이었다. 앞에서 말했듯이 도구나 기기는 정밀도가 중요하고, 그와 관련하여 이 실험에서 주목해야할 점은 불확실도이다. 실험결과를 보면 피펫, 뷰렛, 눈금실린더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불확실도가 높았다. 즉, 피펫이 비교적 가장 정확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오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가장 큰 이유는 각 기구의 특성 때문이다. 아무래도 피펫의 경우에는 고무빨개를 이용하여 원하는 만큼의 액체를 빨아들이는 것이 용이하다. 그리고 눈금도 더 촘촘하여 정확한 양을 얻기 쉽다. 뷰렛의 경우도 콕을 천천히 움직여 원하는 만큼에 가까운 용액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아무래도 콕을 움직이는 것은 고무빨개를 이용하는 것보다 세밀함이 떨어져 불확실도가 증가한 것 같다. 마지막으로 눈금실리더의 경우에는 눈금실린더 자체에 원하는 만큼의 증류수를 넣기가 어려웠다. 게다가, 눈금실린더의 증류수를 비이커로 옮기는 과정에서 항상 눈금실린더에 액체 방울이 남았다. 이러한 요인들이 눈금실린더의 불확실도를 가장 크게 만들었으리라 생각한다. . 그렇다면 각각의 기구로 측정한 값이 이론값과 다르게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우리는 육안으로 눈금을 보고 그 값을 쟀기 때문에 오차가 생길 수밖에 없다. 그리고 뷰렛이나 피펫의 경우 유리관 자체가 약간 기울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유리관이 기울어지게 되면 당연히 그 눈금에 해당되는 값이 정확하지 않다. 또한 피펫을 사용하는 경우 기포가 종종 발생하였는데 조심해서 기포를 생기지 않도록 하더라도 미세한 기포가 생겨 부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기포가 들어가면 그만큼 액체의 부피를 줄어들게 된다. 또한 액체를 비커에 옮길 때 기구 안에 남은 물방울이 있다. 이런 물방울이 가장 많이 남는 기구는 눈
  • 완충작용-완충용액과 완충작용의 예
  • 완충작용-완충용액과 완충작용의 예 완충용액의 정의 (緩衝溶液) (buffer solution) 완충작용을 가진 용액. 완충액이라고도 한다. 용액에 산 또는 염기를 가했을 경우에 일어나는 수소이온농도의 변화를 적게 하는 작용을 완충작용이라 한다. 1909년 덴마크의 생화학자인 S.P.L. 쇠렌센이 염산·수산화나트륨·글리신 외에 인산·시트르산·붕산 등과 염의 혼합용액에 완충작용이 있다는 것을 처음 발견하고 완충용액을 만들었다. 일반적으로 약한산과 그 염, 또는 약한염기와 그 염의 혼합용액을 말하며, 용액의 수소이온지수 pH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사용된
  • 장바구니
  •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