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영연방 작가들-프로필
해당 자료는 153페이지 중 10페이지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이동 우측 이동
1/153

21세기 영연방 작가들-프로필

자료번호 p685102
수정일 2010.10.04 등록일 2010.10.04
페이지수 153Page 파일형식 워드(doc)
판매자 sc***** 가격 3,000원
  • 다운로드
  • 장바구니

프리미엄자료

소개글

21세기 주요 영연방 작가들의 프로필을 정리했다. 시머스 히니, 존 쿠체, 해럴드 핀터, 마거릿 앳우드, 델릭 월컷, A. D. 호프, V. S. 네이폴, 도리스 레싱, 네딘 고디머, 샐먼 루시디, 티모시 모 등이 포함되어 있다.

목차

1. 시머스 히니(Seamus Heaney, 시인)
2. 도리스 레싱(Doris Lessing, 여류소설가)
3. 존 맥스웰 쿠체(J. M. Coetzee, 소설가)
4. 해럴드 핀터(Harold Pinter, 2008년 사망작가, 극작가)
5. V. S. 네이폴(V. S. Naipaul, 소설가)
6. 네딘 고디머(Nadine Godimer, 여류소설가)
7. 데릭 월컷(Derek Walcott, 시인)
8. 마거릿 애트우드(Margaret Atwood, 여류소설가)
9. 샐먼 루시디(Salmon Rushdie, 소설가)
10. 티모시 모(Timothy Mo, 소설가)
11. A. D. 호프(A. D. Hope, 20 세기 작가, 사망작가, 시인)

본문내용

21세기 영연방 작가들-프로필
1. 작가소개(작가이름, 국적, 장르, 대표작): 시머스 저스틴 히니(Seamus Justin Heaney; 시머스 히니, Seamus Heaney; 1939년 4월 13일 생)는 아일랜드계 영국인 시인이다. 2010년 현재 나이 71세이며, 예이츠 이래 가장 위대한 아일랜드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고, 1995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그의 데뷔작 시집은 <어느 자연주의자의 죽음>(Death of a Naturalist, 1966)이며, 대표작은 시집 District and Circle (Faber and Faber, 2006)으로서 같은 해인 2006년 T. S. Eliot상(T. S. Eliot Prize)을 받았다.
시머스 히니는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캐슬도슨(Castledawson)에서 출생하여 현재 더블린에서 살고 있는 2010년 현재 71세의 생존작가이다. 히니는 아일랜드의 시인, 작가, 교수이며, 영국 옥스퍼드대 시전공 교수직(1989-1994)을 역임했고, 1985년 이후 하버드대학교 교수이다(보일스턴 석좌교수, 수사학 강의).
2. 출생지와 출생연도, 성장지와 성장연도, 사망지와 사망연도: 시무스 히니는 1939년 4월 13일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런던데리(County Derry)의 캐슬도슨(Castledawson)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시무스 저스틴 히니(Seamus Justin Heaney)이다.
시머스 히니는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데리(Derry)의 세인트 콜럼브 칼리지(St. Columb’s College)와 벨파스트의 퀸스대학교(Queen’s University)를 1961
1년에 졸업하였다. 그는 1966년과 1972년 사이에 벨파스트 퀸스대학교에서 강의했고, 1970/71년에 캘리포니아대학교(the University of California)에서 방문교수(visiting lecturer)였다. 1972년에 아일랜드 공화국으로 이주하였다. 1989년에서 1994년까지 옥스퍼드대학교 시전공 교수를 역임했으며, 1985년에서 1997년 사이에 하버드대학교 보일스턴교수(Boylston Professor)로서 수사학과 오라토리를 강의했다. 1998년에서 2006년 사이에는 하버드대학교의 랄프 왈도 에머슨 상주시인(Poet in Residence)를 지냈다. 시머스 히니는 아일랜드 문학, 음악, 시각예술에 참여하는 예술가들의 집단인 아오스다나(Aosdana)의 회원이며, 아일랜드 문학아카데미의 회원이고, 영국아카데미의 펠로우이다. 3. 사진 및 연보
4. 부모 및 가족: 시무스 히니는 농부집안에서 9 형제의 장자로 태어났다. 이 집안의 농가는 모스본(Mossbawn)이라고 불렸으며, 캐슬도슨(Castledawson)과 툼브릿지(Toomebridge) 사이에 위치해 있었다. 북아일랜드(Northern Ireland) 벨파스트(Belfast) 북서쪽으로 30마일 떨어진 지점이다. 어린 소년시절에 그의 가족이 몇 마일 떨어진 Bellagby로 이사를 갔고, 그곳이 현재까지 가족의 집이 되었다. 그는 부근 Anahorish 초등학교(Anahorish Primary School)에서 처음 교육을 받았고, 그 학교의 장학금을 받아서 북아일랜드주 런던데리(Londonderry)에 있는 당시 카톨릭 기숙학교였던 세인트 콜럼스 칼리지(St. Columb's College)에 갔다. 세인트 콜럼스에서 공부하는 동안, 그의 4 살배기 동생 Christopher가 길가에서 사고로 숨졌고, 그 사건에 대해서 후에 두 편의 시를 썼다. 한편은 “Mid-Term Break 이고 다른 편의 시는 ”The Blackbird of Glanmore 이다.
히니는 화목한 가톨릭교 가정의 9남매 가운데 맏이로 태어났다. 이 집안의 농장은

참고문헌

www.contemporarywriters.com, www.wikipedia.org, 기타 언론 보도자료 및 인터넷 자료들
저작권 레포트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들이 웹서버에 등록한 개인저작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 입니다.
21세기 영연방 작가들-프로필 게시물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를 등록한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이 침해된다고 확인될 경우 저작권 침해신고 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추천 레포트

  • 사진작가들
  • 사진작가들 1.세계 사진사 흐름과 작가들 19세기 1. 초상사진(portraits) ① 나다르(Felix Nadar)② 줄리아 마가렛 카메론(Juila M. Cameron) 2. 전쟁사진(war photography) ① 로저 펜튼(Roger Fenton)② 메튜 B. 브래디(Mathew B. Brady) 3. 동체사진(motion picture) - 이드위어드 머이브릿지(Eadweard Muybridge) 4. 회화주의(pictorialism) ① 오스카 G. 레일랜더(Oscar Gustave Rejlander) ② 헨리 피치 로빈슨(He
  • 브레히트와 공동작가들- 엘리자베트 하우프트만
  • 브레히트와 공동작가들- 엘리자베트 하우프트만 1. 문제 제기 브레히트 작품들에는 안쪽 페이지에 조그만 글씨로 공동작업자 Mitarbeiter 누구누구라는 표시가 종종 보인다. 대부분의 작품에 이런 표시가 나타나고 특히 여성들의 이름이 종종 등장한다. 브레히트의 작품을 처음 대하면서 대체 이 여성들은 어떤 사람들이었을까, 브레히트 작품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했을까 하는 의문이 뇌리에서 떠나지 않던 기억이 난다. 그러면서도 브레히트의 유명도에 압도당해 이들이 그의 작품의 집필과정에 기여한 것은 그저 자료수집이나 원고교정, 타이프라이터 받아쓰기 정도였
  • [사진학] 미국 현대사진의 흐름과 작가들
  • [사진학] 미국 현대사진의 흐름과 작가들 현대 사진은 그 갈피를 잡을수 없을 정도로 다양화되고 자유분방해졌다. 백 사람에 의한 백가지 사진을 보이고 있는것이 현대 사진이라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만큼 이제 사진의 주된 흐름은 아무도 잘라 말을 할 수가 없게 되었다. 1950년대까지의 근대 사진 시대만 해도 그 주된 흐름과 대표적 작가를 구분해 낼수가 있는데 이는 어느정도 시간이 흘러 정리 평가할 수있는 시간적 거리가 생긴 때문이겠다. 그러나 실은 당시만 해도 사진가들의 사진에 대한 인식에 동질성이 있어서 비록 몇몇 예외는 있을지언정 구분 정리하는 데 별 어려움이
  • Pop Art 와 대표적 작가들
  • Pop Art 와 대표적 작가들 1. 팝아트의 의미 팝 아트란 20세기 중반에 일어난 구상미술의 경향이다 1950년대 초 영국에서 그 전조를 보였으나 1950년대 중 후반 미국에서 추상표현주의의 주관적 엄숙성에 반대하고 매스 미디어와 광고 등 대중 문화적 시각이미지를 미술의 영역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던 구상미술의 한 경향을 경향이다. 팝아트 이전에 미국에서는 추상미술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pop art는 이런 추상 미술에 대한 반동으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추상미술은 작가의 개인적인 감정과 동일시될 수 있는 대상이 되고자 노력하고 주관적 미
  • 인상주의와 인상파작가들의 작품설명과 생애
  • 인상주의와 인상파작가들의 작품설명과 생애 19세기 중반에 들어 화가들은 현실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학문적인 전통이 너무 경직되어 있어 귀스타브 쿠르베 같은 화가들은 기존의 전통에서 배울 점이 없다고 생각 했다. 그래서 그의 농민들의 생활을 진짜 있는 그대로 그려서 기존 미술계에 충격을 던졌다. 이러한 반발에는 `사실주의` 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는데, 다음 세대의 화가들은 그것이 지나치게 구체적인 면에 치중한다는 판단을 내렸다. 또한 그들은 이상화된 테마나 감정에 호소하는 테마도 거부하면서, 더욱 급진적인 길을 걸었다. 그들은 스튜디오 회화
  • 장바구니
  • 다운로드